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정보

전체

[96-3-2-4] 지역 암 예방사업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 작성일1998-11-26 00:11
  • 분류연구조사
  • 조회수5,708
  • 담당자 암관리과
  • 담당부서암관리과

필드명

내 용

과제접수번호

96-3-2-4

연구과제명/국문

지역 암 예방사업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과제명/영문


연구기관명/국문

가톨릭대학교

연구책임자/국문

맹광호

참여연구원수


참여연구원


필드명

내 용

요약/국문

암으로 인한 사망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망원인의 하나이므로, 국가, 지역사회 차원에서 또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암발생의 억제와 관리를 위한 정책이나 조치가 요구된다. 암 질환에 의한 사망과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암발생 위험요인에의 노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1차 예방이 가장 바람직하며 개인이나 일정 인구집단에 대해 암질환을 조기 발견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치료를 행하는 2차 예방이 차선의 방법이다. 실질적인 암 예방사업이나 조기진단 사업의 시행은 각 지역의 인구 크기, 인구구조와 각 지역별 암질환 사망률 , 발생율, 유병율의 크기, 각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건의료 인력, 보건시설, 보건의료정보의 활용가능성, 지역사회의 지리적 특성, 지역사회 주민의 보건의료와 관계된 의식 및 행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력 등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사회에 적합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책개발이 우선되어야 국가규모의 계획수립 및 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일정 지역내의 암 발생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지역 특성에 맞는 암 예방사업 및 조기검진 사업의 정책개방을 위해 일정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암 예방사업 중에서도 특히 1차 예방과 2차예방의 수행방안에 관한 기반연구 및 추후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표를 당해 연도 연구 개발 목표로 설정하였다.

첫볁, 발암요인에의 노출을 억제시키기 위한 1차 예방 계획 수립의 전단계로 이미 암의 위험인자로 확립되어 있는 흡연, 음주, 식습관을 중심으로 지역주민들의 암 발생 위험요인에의 폭로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필드명

내 용

요약/국문

둘째, 이미 암 질환이 진행되었을 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암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치료를 행함으로써 암의 위해를 줄이기 위한 2차 예방인 조기진단 사업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 주민들의 조기검진 수검 현황, 조기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현재 사인별 사망순위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시범적인 기반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또한 일정 시지역을 대상으로 접근하는 것은 각 지역마다 인구규모, 인구구조, 질병력, 보건의료 인력, 보건의료 시설, 보건의료의 활용정도, 지역사회 주민들의 보건의료 행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력, 그 지역에 고유한 문화등의 차이로 인하여, 지역사회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암 관리 정책 개발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이러한 시범연구는 국가 전체적인 암 관리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와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1963년 시로 승격되어 도시형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주민들의 생활양식이 비교적 도시형의 생활패턴을 갖고 있고 인구규모가 중소 도시의 평균과 가까운 인구크기를 갖고 있으며, 서울 북부지역으로 휴전선과 가까이 위치해 있는 관계로 군사보호 구역, 수도권 정비 계획법 등의 영향으로 타도시에 비해 개발이 지체되어 비교적 인구이동이 적은 의정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암 발생 위험인자 및 조기검진 수검자와 관련된 정보 수집을 위해 국내의 관련 논문을 참조하였으며, 의정부 지역 주민의 조기 검진 수검율 파악을 위해 의정부 지역내 직장의료보험조합, 지역의료보험조합과 의료보험관리공단을 방문하여 성인병 건강검진 수검 현황과 암 조기검진 수검현황을 방문 조사하였다. 또한, 암으로 인한 사망 및 암 발생율을 줄이기 위한 1차 예방사업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지역 주민들의 흡연율, 음주율, 식이습관, 생활습관 등을 조사하여 발암위험요인에 어느 정도 폭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외에 설문조사를 위한 관련 회의와 의정부시, 의정부시 보건소와의 협의를 위한 수차례 회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 조사 집락의 단위는 동으로 하여 전체의 통중에서 10개의 동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총 3,250부를 배부하여 1823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필드명

내 용

요약/국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의정부 지역에서의 흡연율은 흡연자가 30.9%, 비흡연자가 52.8%, 과거 흡연자가 2.8%로 조사되었다.

② 음주율은 음주자가 34.4%, 비음주자가 43.9%, 과거 음주자가 5.8%로 조사되었다.

③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경우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20대에서 50대까지 점차 증가함을 보였으며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경우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점차 감소함을 보였다.

④ 대상자 중에서 지금까지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을 63.8%가 받아본 경험이 있으며, 유방암의 경우는 21.4%가 위암의 경우는 남자에서 15.2%, 여자에서는 20.6%의 검진율을 보였다.

⑤ 암 조기진단검사를 받은 의료기관은 개인의원 이용이 전체 의료기관 중 60%를 차지하였다.

⑥ 위암,유방암,자궁암에 대한 검사는 30대에서 가장 많이 하였다.

⑦ 담배와 술을 마시지 않으며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생활습관을 가질수록 조기진단을 받는 경우가 증가함을 보였다.

⑧ 자궁암 조기진단을 안 하게 된 동기는 '검사결과에 대한 불안감 飁문에'가 10.5%로 제일 많았다.

⑨ 전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병원방문 비율이 증가하였다.

필드명

내 용

요약/영문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nowadays. So nationwide cancer control program should be launched to control the cancer effectively. Moreover, the program that will fit the medium-sized community well should be provided for each community could perform their own cancer control program in the right way.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mmunity-based cancer control program, and this first year's study object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lated to primary prevention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ncers in Euijongbu-city. Literature review have been performed, and self-administred survey to evaluate the current situation of life-style - smoking, alchole comsumption, diet, physical activity - and the cancer screening examination - stomach, cervix of uteri, breast cancer.

The data of random cluster sampling scheme was applied 1823 study subjects were analized. Also, the medical doctors located in Euijong-bu city were interviewed to study how they perform the cancer screenging examin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30.9% of the study subjects were regular smoker, 52.8% were non-smoker, and 2.8% were ex-smoker.

2. 34.4% of the study subjects were regular alcohol drinker, 43.9% were non-drinker, and 5.8% were ex-drinker.

3. 64.8% of the women had a experience of cervix cancer screening, and 21.4% of the women of breast cancer screening.

4. The subjects who are non-smoker perform regular exercise are received cancer screening examination more than current-smoker, non-regular exercis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to formulate the scheme of community-based cancer conrol program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ancer control program later on.

발행일자

1997년도

원문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