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정보

전체

장애인 복지서비스 종사자 교육 성인지적 검토 및 개선방안 연구

  • 작성일2023-01-17 15:09
  • 분류연구조사
  • 조회수1,440
  • 담당자 이문화
  • 담당부서양성평등정책담당관

o 연구 목적

- 장애인 복지서비스 종사자 교육에서의 성인지적 검토는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전 과정에서 성별 특성 고려 및 성평등한 인식 수용 등 종사자의 성인지 감수성을 제고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장애여성이 더 이상 주변화되지 않고 주체성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o 목 차

1.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3. 종사자 교육 현황 및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교육 내용 분석

  1) 개 요

  2) 교육 현황

  3) 성인지관점에서의 내용 분석

  4) 소 결

4. 성인지적 관점에서 장애인 복지서비스 종사자 교육의 문제점과 정책수요 분석

  1) 연구 개요

  2)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성차별 및 인권침해 실태

  3) 현행 교육의 실태와 문제

  4) 성인지 교육정책 수요

5. 정책과제

o 연구 방법

  - 문헌 연구, 2차 자료 분석, 초점집단면접(FGI)

o 정책과제

  1) 성인지 교육 측면 : 성인지 교육의 의무화와 독립된 교육 커리큘럼 운영, 성인지 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 시간 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장애인 복지서비스 종사자 교육 전반에 성인지 관점 반영, 장애인 당사자 및 장애부모에 대한 성인지 교육 필요

  2) 양성·보수 교육 측면 : 장애 영역에서 성인지 교육 전문강사 인력풀 확보 및 역량 강화, 이용자의 성별과 장애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참여형 교육으로 현장에서의 실효성 강화, 종사자의 성인지 관점 및 감수성 부족·부재로 인한 서비스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보수교육 필요, 전문 교육기관을 통한 보수교육 의무화와 심화과정에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된 교육내용 포함, 현장 중심의 성인지 관점이 반영된 표준교재 마련, 현행 표준교재에 성인지 관점 교육내용 수정 및 보완, 교육교재와 매뉴얼은 누구나 쉽게 이해 가능한 내용과 문체로 구성, 장애인 당사자와 장애부모의 교육교재 집필·검수에 참여 기회 제공

  3) 교육 운영 측면 : 코디네이터 인력 확충 및 역량 강화, 시설장의 책임 및 역량 강화, 현장 종사자의 성비·연령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장애인 복지서비스 종사자 교육 성인지적 검토 및 개선방안 연구_최종본_230117.pdf ( 4.51MB / 다운로드 720. / 미리보기 150.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