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전체

응급환자정보센터의 기능 개선 -119번/1399번 [보건자원과]

  • 작성일1998-06-26 01:05
  • 조회수13,683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 담당부서 : 보건자원과 (503-7554) ☞ 보도일시 : 98년 6월 25일 석간부터 보도 * 응급질병 상담과 병원안내는 [1339], 구급차 요청은 [119] * ♠ 보건복지부는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운영하고 있는 응급환자정보센터의 기능을 개선하기로 하였다. - 종전의 응급환자상담, 응급의료기관 안내를 주로 하던 응급환자정보 센터의 기능에 더하여 의료기관에 대한 응급의료 관련정보 제공과 환자이송중 응급처치를 담당하는 응급구조사에 대한 지도를 증진 하도록 개선하기로 하고 - 응급 자정보센터의 전화번호를 7월 1일부터 [129]에서 [1339]로 변경하기로 하였다. - 아울러, 구급차 출동 요청 전화번호에 대한 국민들의 혼동과 불편을 덜고 구급차 출동의 신속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의 일환으로서 앞으로 응급환자의 구급차 동 요청은 [119]로 일원화된다. - 보건복지부는 응급환자정보센터의 전화번호 변경에 대한 국민들의 혼선을 줄이기 위하여 당분간은 [129]로 걸려오는 전화에 대해서도 정보제공 서비스를 계속하면서 전화번호 변경사실을 안내하기로 하였다. ♠ 응급환자정보센터는 앞으로 종합적 응급의료정보센터로 발전시키기로 하였다. - 응급환자정보센터에서는 이송중인 응급환자에 대하여 응급처치에 대한 지도와 이동하여야할 병원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을 증진하기 위하여 활용도가 높은 응급의료정보와 독극물 중독 처치를 위한 정보 등의 자료망을 구축하고 있다. - 또한 정보센터는 이러한 정보 제공 뿐만 아니라 응급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모니터링 기능도 주도적으로 수행할 계획 이다. ♠ 한편 보건복지부는 실무추진단을 구성하여 올해내에 응급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책을 마련함으로써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주력키로 하였다. - 현재 각 시·도별로 건립중인 8개의 권역별 응급의료센터를 중심 으로 응급의료서비스의 지역적 기반을 확충하고 응급의료정보를 제공토록 하며 응급환자의 이송이나 치료에 대한 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를 확립하여 응급의료서비스의 적시성과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에 주력할 것이다. - 한편, 119 구급대가 수행하기 어려운 원거리 이송이나 병원간 이송 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응급환자이송업을 장려하는 방안도 추진하기 로 하였다. ※ 응급환자정보센터 개선방안 ※ ■ 추진 기본방향 ▷ 응급환자정보센터의 기능을 개선하면서 전화번호 변경: [129]⇒[1339] - 의료인(의료기관)에 대한 응급의료 관련 정보 제공 - 응급구조사에 대한 응급처치 지도 증진 - 질병상담 및 병원안내 서비스 지속 실시 ▷ 구급차 출동 연계 서비스는 [119]로 이관 ▷ 활용도가 높은 정보 및 고급 응급의학 정보 축적 ▷ 향후 종합적인 의료정보센터로의 기능 확대 모색 <종 전> 129 < 개 선 > 1339 ┌───────────────┐ ┌──── ──────────┐ │ 구급차출동연계( 97 : 6천건) │ │※ 의료기관에 대한 응급의료 │ │ │ ⇒ │ 관련 정보 제공 │ └───────────────┘ ├───────────────┤ │※ 응급구조사에 대한 응급처치 │ │ 지도 │ │ │ ┌───────────────┐ ├ ──────────────┤ │ 질병 상담(가정내 응급처치 │ │ 질병 상담 │ │ 등 : 97 : 40천건) │ │ │ ├───────────────┤ ├───────────────┤ │ 병원 안내 (응급의료기관 │ ⇒ │ 병원 안내 │ │ 안내 : 97 : 244천건) │ │ │ ├───────────────┤ ├───────────────┤ │ 기타 문의 ( 97 : 312천건) │ 기타 문의 │ └───────────────┘ └───────────────┘ ※ 구급차 요청은 [119]로 -끝-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