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전체

[대통령업무보고] 國政課題 推進實績 및 計劃 [기획예산담당관실]

  • 작성일1998-07-08 00:28
  • 조회수14,859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담당부서 : 기획예산담당관실(503-7520) * 보도일시 : 98년 7월 8일 석간부터 보도 ■ 國政課題 推進狀況 點檢會議 ■ Ⅰ. 국정과제 추진 개요 □ 보건복지부가 추진해야 할 國政課題(56개)중 ▷ 중점과제는 실직자 생활안정자금 융자(국민연금), 국민의료보험법 시행 등 29개 □ 重點課題 推進狀況 ▷ 기 조치 : 경로연 실시, 식품안전관리기준 강화 등 6개 과제 ▷ 정상추진 : 의료보험 통합법안 제출, 보건의료 장기청사진 마련 등 19개 과제 ▷ 추진실적 저조 : 실직자 한시적 생활보호(일선기관 소극적 태도 등), 장애인 일거리 제공( 식부족), 의약품 납품비리 근절(제 도적 문제점 및 이해상충 등 복합적 요인), 도시자영자 연금 실시(법안 국회계류) 4개 과제 ※ 의약분업 실시, 병원 의약품 납품비리 근절, 단순의약품 약국외 판매허용, 의료보험 통합 등 과제는 추진과정상 社會爭點化 예상 Ⅱ. 중점 국정과제 1.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社會安全網 확충 1-1. 低所得 失職者 生活安定 지원 □ 대도시 露宿者에 대한 지원대책 마련 시행(6. 16 지시) ▷ 6대도시에서 3천명을 대상으로 무료숙식·상담·의료구호 실시(예비 비 200억원 중 67억원 집행, 숙소 20개소, 급식소 27개소, 상담소 28 개소 운영 중) - 종교·사회단체의 적극 참여로 급식 등 기본적인 보호에는 큰 어려 움이 으나 노숙의 장기화, 근로의욕 저하, 불만확산 등 우려 ▷ 이에 6. 15부터 노숙의 장기화 방지를 위해 23개 專門 相談팀을 7개 지역에 배치, 노동부·산자부 등 관계부처 협조하에 밀착상담 실시 (6월말 현재 2,593명 상담 : 취업알선 887명, 귀가 74명, 시설입소 147 명 등) □ 生活安定資金 融資 및 의료보험료 경감 ▷ '98.5월부터 國民年金基金에서 생활안정자금 융자 실시(현재 92,502명 에게 3,123억원 대부, 연말까지 1조원 목표) ▷ 의료보험료 50%를 직장의료보험조합 재정에서 부담(의료보험법을 개 정하여 현재 18,987명에게 경감 조치) □ '98.4월말부터 저소득 실직자 31만명에 대한 限時的 生活保護 실시 (1,800억원) ▷ '98. 6월말 현재 생계보호 2만5천명, 自活保護 1만7천명 선정·보호 - 일선 공무원이 보호 종료시 야기될 민원을 우려, 대상자 선정에 소 극적이고 선정기준도 엄격하여 보호실적 저조 ▷ '98. 6. 15 선정기준 완화지침 시달, 6. 30까지 일선순회교육 실시 □ '98. 5월부터 도로청소, 공원정비 등 特別就勞事業 실시(300억원) ▷ '98. 6월 현재 연인원 91만 1천명 참여(199억원 집행) ▷ '98. 7월중 사업비 소진 전망, 필요시 추가 확보 1-2. 宗敎界의 福祉活動 참여 유도(4. 10 지시) ▷ '98.4월부터 김수환 추기경, 송월주 총무원장 등 宗敎界 指導者 11명 장관이 직접 방문, 협조요청 - '98. 5월 종교계의 노숙자 보호사업에 4억원 기 지원 ▷ {韓國宗敎界 社會福祉代表者協議會}(8개 종단 참여 '98. 6. 5 발족) 간 담회 정례화(6. 24 제1차 장관초청 간담회 개최) ▷ '98 하반기중 각 종단별 복지활동정보지원센터 개설 지원 계획 1-3. 障碍人 自立·自活 지원 등(4. 10 지시) □ 장애인 일거리 제공 ▷ '98 상반기 중증장애인 職業再活施設 10개소 설치 완료('98 하반기 3 개소 설치 예정, 현재 145개소에 3,827명 근로 중) ▷ '98. 4월 公共施設 賣店·自販機 영업권을 장애인에게 우선 허가토록 지침 시달(현재 기관별 허가계획 취합 중, '98. 7월 중 국무회의 보고 예정) ▷ '98. 5월 障碍人 生産品을 정부가 우선구매하는 發注指定制度 도입을 위해 조달청과 2차례 협의(6. 2 경제차관간담회시 협조요청) ▷ '98. 6월 공공기관 행사시 기념품 등을 장애인 생산제품으로 구매토록 중앙 및 지방기관에 협조요청(안내책자 제작·배포 완료) □ '98. 4. 11 {장애인 등의 편의시설증진법} 시행 ▷ '98. 4월 시·도 순회교육 실시 및 포스터 제작 배포 ▷ '98. 5월 편의시설 標準設計圖面 개발 용역 의뢰(12월 완료예정) 1-4 老人 所得提高 및 健康保護(4. 10 지시) ▷ '98. 7월부터 저소득노인(65만 8천명)에게 敬老年金 지급(742억원) ▷ '98 상반기 중 老人共同作業場 2개소 설치완료(하반기 중 20개소 설 치계획, 현재 463개소에서 13,725명 근로 중) ▷ 『老人地域奉仕指導員} 법제화 추진 중(6. 20 노인복지법시행령 공포, 시행규칙 법제처 심의 중, 10. 2 노인의 날을 기해 발대식 예정) ▷ 현재 치매요양병원 6개소 및 요양시설 15개소 건립 중(치매요양시설 9개소 운영 중, 치매요양병원은 하반기 중 2개소 개원 예정) 2. 社會保障制度의 개혁 2-1. 의료보험제도의 개혁 □ 공·교 공단과 지역조 을 우선 통합('98. 10. 1) ▷ 직장을 포함한 전체 의료보험 통합시 새로운 보험료 부과체계 개발 등 전반적인 제도개편에 따른 상당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므로 {국민의 료보험법}을 우선 시행한 후 전체통합 추진 ▷ '98. 1월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설립위원회}를 구성, 신설 공단의 조 직·보험료 부과 및 전산체계 구축 등 준비작업 추진 중(4차 회의 개 최, 7월중 정책토론회 개최 예정) □ 전체 醫療保險 統合 一元化 추진 ▷ 국민적 합의 속에 통합방안 마련을 위하여 '98. 3월 {의료 험통합추 진기획단}을 구성 (31명을 위원으로 본회의 7회 및 분과회의 15회를 개최하여 통합 일 원화의 기본방향 설정) ▷ '98. 6. 23 통합법안 공청회 개최, '98정기국회에 법안상정 계획 【統合의 基本方向】 ·관리조직 : 372개 조합을 공단으로 통합, 본부와 지역사무소로 단순화 ·진료비 심사 : 보험자로부터 독립된 기구로 설치하는 방안 검토 ·보험료 부과 : 전국민에게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단일 체계(자영자와 근로소득자간 형평성 있는 부과방안 강구 필요) ·보험재정 : 통합운영, 농어민·자영자에게는 국고 일부지원 2-2. 全國民年金 실시 및 연금관리공단 經營革新 □ 都市自營者(890만명)를 대상으로 국민연금 적용(10. 1 예정) ▷ '98. 3월 4개 지역에서 모의적용사업 실시 완료 ▷ 연금확대 소요인력(1,800명) 및 예산(344억원) 기 확보 □ '98. 5. 8 國民年金法 개정안 국회 제출, 계류 중 ▷ 제1기 노사정 합의사항인 {公共資金管理基金法} 제5조(기금강제예탁) 의 폐지와 연계하여 연금법 처리 주장 ('98.6.22 고 당정회의, 공공자금관리기금법과 국민연금법을 분리 처리토록 협조 요청) ▷ 늦어도 7월중 국민연금법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도시지역 연금 확대 시기 연기 불가피 및 지난 10년간 제기된 문제점 개선 지연 □ 국민연금관리공단 경영 혁신(4. 28 지시) ▷ 본부조직을 축소, 顧客中心으로 세일즈 조직화하여 일선 대민기관에 배치 활용(6. 3 본부·지부·출장소 3단계 조직체계를 본부·지사 2 단계로 단순화) ▷ 기금관리의 專門性 提高를 위하여 펀드매니저를 5명 채용(6. 3) 2-3. 4대 社會保險 統合管理 추진 ▷ 당정회의(6. 12) 및 고위당정회의(5.15, 6. 22)에서 통합원칙 논의 - 총리가 위원장인 社會保障審議委員會에 {통합추진기획단}을 설치하 고 관련부처 국장급으로 실무추진반을 구성 예정('98년도 하반기) ▷ 2002년 통합관리를 목표로 국민연금과 의료보험의 사업장 근로자 보 험료 통합 부과·징수 추진( '98∼'99년 중 시범사업 실시예정) 3. 국민욕구에 부응하는 保健醫療體系 구축 3-1. 公共保健醫療 역할 강화 □ {국민의 정부} 보건의료 청사진 마련 ▷ '98. 4월 {21세기보건의료발전기획단}을 구성·운영 중, 12월까지 마 무리 예정(회의 5회 개최) - 예방적 서비스, 소외계층 건강보호, 보건의료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중점 □ 지방행정조직 개편과 연계한 保健機關 機能 再定立 ▷ '98. 5월 전국 保健所 實態調査 실시 및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지침 시달, '98. 6월 심포지움 개최 ▷ 농어촌 보건소에 대한 시설 및 장비 보강 ('98. 5월 수요조사 실시, '98 하반기중 372억원 지원예정) □ 500병상 규모의 암센타 건립 ▷ '98. 6월 運營主體 決定(국립), 행정자치부에 직제 요구 및 구입장비 품목 선정(2000년 상반기 개원 예정) □ 應急醫療體系의 재구축 ▷ '98. 4월 {대량재해 발생시 응급의료소 운영지침} 시달 및 6월 응 의 료수가 조정 ▷ '98. 7. 1부터 應急患者 申告體系를 119로 단일화하고, 복지부는 응급 의료 공급능력 확충 및 질적서비스 개선에 중점 (현재 권역별 응급의료센터 8개소 및 외상전문센터 3개소 건립 중, '99년도부터 국립의료원을 중앙응급의료센터로 활용 계획) 3-2. 수요자 중심으로 醫藥制度 改善 □ 의약품 販賣制度 개선 ▷ '99. 1월 의약품 {最低價格規制}를 廢止, 藥價 경쟁 유도(6. 13 물가대 책차관회의 보고, '98. 11월 {약사법시행규칙} 개정 예정) ▷ '98. 5월 구성된 {의약품분류위원회}에서 藥局外 販賣品目을 연말까지 선정 완료계획(회의 2회 개최) □ '99. 7월 醫藥分業 실시 준비 ▷ '98. 5월 구성된 {의약분업추진협의회}에서 실시방안 마련 중(회의 2 회 개최) ▷ '98. 8월 청회를 거쳐 의약분업 도입방안 확정('98 정기국회에 {약 사법} 개정안 제출 예정) □ 病院 醫藥品去來 非理 근절방안 마련(4. 10 지시) ▷ '98. 5월 실무대책반 구성, 5개 병원 대상으로 의약품 거래 실태조사 및 결과분석('98. 6월) - 약품채택비, 기부금, 학회활동 지원 등 유형 다양 - 발생원인은 제약업체간 과당경쟁, 의약품 유통구조의 복잡성, 보험 수가 및 약가제도의 비현실성, 의사의 직업윤리문제 등 복합적 ▷ 의약품 공정거래 질서확립을 위한 자율정화운동 전개 (5. 14 全國病院長 自淨決意, 7. 6 병원협회 등 4개 단체장이 자율정 화 대책기구를 상설 운영키로 합의) ▷ 현재 9개 병원 특별단속 중이며, 연말까지 43개 대형병원 지속적 단 속 실시('98. 9월까지 종합대책 보고예정) 3-3. 保健醫療産業의 육성·지원 □ 보건의료기술 개발비 지원 ▷ '98. 6월 의약품·醫科學 등 7개분야에 273억원 지원, 10월중 醫療工 學 등 3개분야에 226억원 지원 예정 (항암제 등 9건 신약임상시험단계 진입, 항생제 등 3건 신약개발기술 수출, '98. 2월 디지털 초음파진단기 3천만불 수출계약 체결) □ 제약산업의 중복투자 방지, 유휴시설 매각정리 촉진 및 전문화 유도 ▷ 製造業所間 委託生産을 전면 허용 ('98년 하반기 {의약품제조시설기준령} 개정 예정) ▷ 新藥開發 設 現代化資金 우선 지원 등 인센티브 제공 계획 ('98 지원규모 320억원, 7. 3 대상자 선정) ▷ '98 하반기중 의약품 물류비용 절감을 위한 共同物流센터 5개소(150 억원) 건립 지원(6. 29 평가기준 설정 및 심의위원회 구성) □ 2006년까지 276만평 규모 {五松 保健醫療科學團地} 조성 ▷ '98. 3월 토지공사에서 開發實施計劃 수립 착수(현재 측량, 문화재 지 표조사 중) ▷ '98. 4월 30대 제약회사 회장단 설명회 개최, 5월 홍보물 3,000부 제작 ·배포 ▷ '98. 6월 식품의약품안전청· 립보건원·한의학연구원 등 6개 기관 이전계획 마련 □ 中小病院 專門化에 필요한 시설·장비 구입비 지원 ▷ '98. 6월 융자사업계획 기 시달, 현재 신청 접수 중(250억원, '98. 9월 부터 융자) 3-4. 飮食文化 改善 실천 지원 □ 모범업소에 대한 세제혜택 등 지원방안 추진(4. 10 지시) ▷ '98. 6월 상수도료 감면 확대(30%→50%), 쓰레기봉투·쓰레기 감량화 장비 구입비 지원 및 시설 보수비 융자 ▷ 소득세 및 법인세 감면을 위해 재경부에 {조세감면규제법} 개정 협조 요청('98. 6월) ▷ '98. 12월 평가대회 개최 및 모범업소 표창계획 □ 서울 등 4개 지역에서 {사랑의 식품나누기(Food Bank)} 시범사업 추진 ▷ '98. 1∼5월 사이 2,463개소의 사회복지시설 및 무료급식소 등에 빵, 음료수, 통조림 등 2,584건 기탁, 매월 증가추세 3-5. 食品醫藥品 安全管理 강화 ▷ 國民多消費食品(37개 품목) 매월 수거·검사 발표(5월말 현재 21,155 건 검사, 연말까지 4만8천건 예정) ▷ '98. 6월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중앙식중독예 대책본부} 설치, 9 월 부정불량식품 신고전화 {1399} 운영 예정 ▷ 식품의 安全管理 基準 설정('98. 6월 말라치온 등 15종의 잔류농약 및 O-157:H7 등 5종의 危害미생물) ▷ '98. 4월부터 수입식품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식약청·지방청 검역소간 수입식품 전산망 운영 ▷ '98. 12월 의약품의 安全性·有效性 심사규정 및 임상시험규정을 미 국, 일본, EU 등 선진국 수준으로 전면 재정비 계획 Ⅲ. 정부혁신 및 규제개혁 추진 <構造 新> ▷ '98. 9월부터 국립보건원의 의사 등 22종의 國家試驗을 {한국보건의료 인 국가시험원}(6. 3 설립)에 위탁(고시과 폐지, 12명 감축) ▷ '98년 말까지 國立社會福祉硏修院을 廢止, 국립보건원 훈련부에 흡수 (44명 감축, 76명→32명) ▷ 식품위생연구원과 의료관리연구원을 {韓國保健醫療技術開發院}으로 통합 추진(기획예산위원회와 협의 중, 40명 감축예정) <運營革新> ▷ '99년부터 國立醫療院 책임경영제(Agency) 도입 예정 ▷ '98. 하반기부터 자체 경영개혁 추진 - 복지부 직원들의 보직 직후 일정기간 현장확인 의무화제도 도입 - 전용 민원접수·상담창구 및 전화번호 설치 - 장관직속의 정책자문단 및 각 분야별 자문인력은행 설치·운영 - 주요 정책현안에 대하여 외부인사와의 론회 제도화 <規制改革> □ 현재 총 2,085건의 규제 중 56%인 1,169건을 폐지·정비하되, 국민건강 관련 규제는 강화(금년중 총 규제의 50.4%인 1,051건 폐지·정비) □ 주요내용 ▷ 국민불편 해소 : 접객업 종사자 보건증 휴대의무 폐지 등 410건 ▷ 진입규제 철폐 : 식품·화장품 제조업과 음식점의 許可制 완화 또는 폐지 등 98건 ▷ 사업자부담 완화 : 보건·의약·위생·복지기관의 불합리한 의무고용 폐지 등 270건 (자료끝)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