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보도설명

[보도설명자료][1.29.월,.경향신문]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 관련

  • 작성일2024-01-29 18:15
  • 조회수726
  • 담당자두유림
  • 담당부서장애인정책과


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는 서비스의 종류와 양을 맞춤 지원하기 위해

신체기능뿐 아니라, 환경과 사회활동 등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 경향신문 1월 29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1. 기사 주요내용


□  경향신문은 1.29일 「당신의 몸은 몇점인가요?」제하의 기사에서,


  ○ 행정편의를 위해 장애가 있는 몸을 점수로 수치화해 활동지원 시간 결정


  ○ 현재 활동지원은 예산에 맞춰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도함


2. 설명 내용


□ “장애가 있는 몸은 수치화되기도 한다. 장애인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종합조사)에 의해서다”라는 기사 내용과 관련하여,


 ○ 종합조사는 활동지원 등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적정 급여량을 산정하기 위해 장애인의 지원 욕구를 파악하는 도구이며, 그 결과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와 급여의 종류 및 양을 맞춤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 현재 종합조사는 장애인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기능적 평가 외에도 환경과 사회활동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여 조사하고 있습니다.


 ○ 종합조사는 `19.7월에 장애등급제를 폐지하면서 장애인의 신체기능에 대한 계량화를 중지하고, 서비스별 필요에 따라 대상자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 따라서, “제도 자체가 예산에 맞춰 운영되고 있는 상황”으로 단순화 하기 곤란합니다.


 ○ 장애인지원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활동지원 예산은 2015년 약 4,600억원에서 2024년 약 2조 2,846억원으로 5배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 다만, 종합조사가 장애인서비스의 종류와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도구이므로, 이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 올해 3월까지 종합조사 지표개발 연구를 진행하므로, 그 결과를 반영하여 관련 규정을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설명자료][1.29.월,.경향신문]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 관련.hwpx ( 112.5KB / 다운로드 192회 / 미리보기 79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설명자료][1.29.월,.경향신문]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 관련.pdf ( 242.38KB / 다운로드 385회 / 미리보기 91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