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보도설명

[보도설명자료][1.31.수.한겨레] 건강정보 민간기업 활용 관련

  • 작성일2024-01-31 10:14
  • 조회수882
  • 담당자박은경
  • 담당부서의료정보정책과


디지털헬스케어법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건강정보의 제3자 전송 등의 규정을 의료분야의 특수성에 맞게 보완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 한겨레 1월 31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1. 기사 주요내용


□ 한겨레 1.31일 ‘의료기관, 기업에 개인 의료정보 제공 추진 논란’기사에서,


 ○ 의료기관이 환자 동의를 받아 개인 의료정보를 민간기업에 전송하여 상업적으로 활용할 우려


 ○ 보험사 등이 개인 병력?건강검진 기록을 축적해 보험료를 올리거나 상품 판촉에 남용할 수 있다는 지적


2. 설명내용


□ 개인이 희망할 때 의료정보를 민간 회사 등으로 전송하는 것은 2023년 3월 14일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 하에서도 가능하고,


 ○ 의료보험 청구 목적으로 진료정보를 보험사에 전자적으로 전송하는 것도 2023년 10월 24일 개정된 보험업법에 따라 가능합니다. 


□ 디지털헬스케어법은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의 제3자 전송권 규정을 의료정보의 특수성에 맞게 보완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 일반법인 개인정보보호법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헬스케어법을 제정하는 취지는 전송 대상 의료정보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의료정보 활용기관의 요건을 의료정보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규정하기 위함입니다.  


 ○ 개인건강정보는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예방?치료?건강관리?연구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질병이나 장애를 사유로 개인을 차별하지 못하도록 금지하였습니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