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소개

현장앨범

바이오헬스 인재 11만명 양성 위한 정부-산업-교육계 협의체 가동

  • 행사일23/06/02
  • 분류제2차관소개 현장앨범

바이오헬스 인재 11만명 양성 위한 정부-산업-교육계 협의체 가동

-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제1차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 주재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이하 복지부)는 6월 2일(금) 포스트타워 국제회의실(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박민수 제2차관 주재로 ‘제1차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를 개최하였다.

정부는 미래 신성장 동력*인 바이오헬스 산업의 인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4월 6일(목) 제20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기술 간 융복합으로 끊임없는 혁신이 발생하고 있어, 산업 생태계 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 정책의 발전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정부는 산업계·교육 현장과 소통하여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정책을 보완해나가기 위한 민-관 협의체인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를 구성하였다.

대책 발표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이번 협의체는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의 주요 내용을 산업·교육 현장과 공유하였다.

박민수 제2차관은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바이오헬스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이 살아남는 길은 뛰어난 인재를 많이 양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정책은 추진을 위한 면밀한 준비가 중요하므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를 통해 든든한 민관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인재를 적극 육성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이하 복지부)는 6월 2일(금) 포스트타워 국제회의실(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박민수 제2차관 주재로‘제1차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를 개최하였다.


<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 개요 >

(추진배경) 바이오헬스 글로벌 기술 패권 확보를 위한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민-관 협력을 통한 산업환경 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 정책의 보완·발전 필요
(참석자)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관련 정부 부처, 주요 협회 및 전문가
  - (정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 (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 한국의료기기산업현회, 대한화장품협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전문가) K-NIBRT, 폴리텍 대학 등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관련 교육 전문가 11명
  -(지원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부는 미래 신성장 동력*인 바이오헬스 산업의 인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4월 6일(목) 제20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대책은 ➊산업현장에 기반한 학교 교육 제공 ➋현장 수요 맞춤형 생산·규제과학 전문인재 양성 ➌혁신을 선도할 핵심 연구인재 육성 ➍든든한 지원체계 구축이라는 4대 추진과제를 통해, 바이오헬스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핵심인재 11만 명 양성(’23~’27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은 ’27년까지 연평균 5.4% 성장 전망(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헬스 산업은 기술 간 융복합으로 끊임없는 혁신이 발생하고 있어, 산업 생태계 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 정책의 발전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정부는 산업계·교육 현장과 소통하여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정책을 보완해나가기 위한 민-관 협의체인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를 구성하였다.

대책 발표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이번 협의체는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의 주요 내용을 산업·교육 현장과 공유하였다.

또한, 복지부·산업부 등 정부 부처에서 추진 중인 2023년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2024년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날 협의체에 참여한 산업·교육계 전문가들은 복지부·산업부·과기부 등 정부 부처별로 산재한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통합적 운영·관리를 위한 범부처 컨트롤타워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제약바이오 실무인력·화장품 안전성평가사 양성과정 확충 및 의사과학자 등 연구인력 육성 강화 등 바이오헬스 각 분야별 인재양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박민수 제2차관은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바이오헬스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이 살아남는 길은 뛰어난 인재를 많이 양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정책은 수립만큼 추진을 위한 면밀한 준비가 중요하므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를 통해 든든한 민관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인재를 적극 육성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첨부

  • 담당부서

  • 전화번호044-202-3802

  • 최종수정일2023년 07월 10일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