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소개

현장앨범

‘K-바이오백신 펀드’ 성공적 조성을 위해 각계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다!

  • 행사일23/07/25
  • 분류제2차관소개 현장앨범

‘K-바이오백신 펀드’ 성공적 조성을 위해 각계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다!

 -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 전략 자문회의’ 주재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박민수 제2차관 주재로 7월 25일(화) 오전 9시 30분 서울스퀘어 3층 대회의실에서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 전략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제약·바이오 투자 시장의 상황과 향후 K-바이오백신 펀드가 성공적으로 조성되기 위한 전략 방안들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복지부는 2022년 7월 제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대통령 주재)를 통해 혁신적 신약 개발과 백신 자주권 확보를 위해 1조 원 규모의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을 발표하였고, 정부 출자금 1,000억 원과 국책은행* 출자금 1,000억 원을 통해 약 5,000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우선 추진하였다.
   * 산업은행, 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복지부는 2022년 9월 말, 2,500억 원 규모 2개 펀드 조성을 위해 유안타 인베스트먼트와 미래에셋벤처투자(미래에셋캐피탈 공동)를 선정하여 펀드 조성을 시작하였으나, 올해 6월 말 미래에셋벤처투자(미래에셋캐피탈 공동)가 펀드 운용사 자격을 반납하며 신규 운용사 선정 등이 필요해졌다.
  
이날 참석한 민간 전문가들은 고금리로 인해 지속되어 온 바이오벤처들에 대한 투자 감소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K-바이오백신 펀드의 조성과 투자 개시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펀드 규모 ▲펀드 결성방식 ▲주목적 투자범위 등에 대한 유연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박민수 제2차관은 “자문회의에서 제시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K-바이오백신 펀드 개편안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8월 초에는 운용사 선정 공고를 하겠다”라고 밝히며, “투자심리 위축 속에서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은 펀드 조성 등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이를 통해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첨부
  •  첨부 ‘K-바이오백신 펀드’ 성공적 조성을 위해 각계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다!.zip 전체사진 다운로드

  • 담당부서

  • 전화번호044-202-3802

  • 최종수정일2023년 07월 10일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