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소개

현장앨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개선 방향에 대한 공청회 개최

  • 행사일23/09/14
  • 분류제2차관소개 현장앨범
사진설명
  • 사진 1~3 : 보건복지부 제2차관, 비대면 시범사업 개산방향에 대한 공청회(이하 공청회)에서 연설하고 있는 사진
  • 사진 4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공청회에서 경청하고 있는 사진
  • 사진 5~6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공청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사진
  • 사진 7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공청회에서 박수치고 있는 사진
  • 사진 8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공청회에서 발표하기 위해 무대로 이동하고 있는 사진
  • 사진 9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공청회에서 경청하고 있는 사진
  • 사진 10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공청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사진
  • 사진 11 : 공청회에서 프리젠테이션하고 있는 사진
  • 사진 12~14 : 공청회 무대에서 토론자들이 이야기 하고 있는 사진
  • 사진 15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공청회에서 자료에 메모하고 있는 사진
  • 사진 16 : 공청회 무대에서 토론자들이 이야기 하고 있는 사진
  • 사진 17 : 공청회 무대를 경청하고 있는 참석자들 사진
  • 사진 18 : 공청회장 사진
  • 사진 19 : 공청회 무대에서 토론자들이 이야기 하고 있는 사진
  • 사진 20~22 : 공청회에서 질문하는 참석자들 사진
  • 사진 23 : 공청회 무대에서 토론자들이 이야기 하고 있는 사진
  • 사진 24 : 보건복지부 제2차관, 참석자 중 한분과 이야기 나누고 있는 사진
  • 사진 25 :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참석자들 사진
  • 사진 26 : 보건복지부 제2차관, 참석자 중 한분과 이야기 나누고 있는 사진
  • 사진 27 :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참석자들 사진
  • 사진 28~29 : 보건복지부 제2차관, 참석자들과 이야기 나누고 있는 사진

2달간 비대면진료 15만 건 시행,  향후 접근성 더 높인다.

- 시범사업(2023년 6∼7월) 시행, 재진 환자와 만성질환자가 주로 이용 -

- 공청회 개최하여 시범사업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수렴 -

※보도 참고 자료 보기: https://url.kr/t8zu3v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9월 14일(목), 2023년 6월 1일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실시 이후  6~7월 두 달간의 실시현황을 발표했다. 

6월 기준 총 14만 명의 환자가 15만 3천 건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진료 건수 기준으로 한시적 비대면 진료(월평균 222,404건)의 69% 수준이다.

6월 기준 총 비대면진료 건수 153,339건 중 재진은 126,765건(82.7%), 초진은 26,511건(17.3%)이었다*. 의원급 의료기관은 153,221건(99.9%)이었으며, 의원급 재진 환자 중 만성질환자가 61,514건(48.6%), 그 외 질환자가 65,134건(51.4%)이었다. 

총 건수 중 연령별 진료 건수는 60~69세가 가장 많았다. 

지역별 진료 건수는 서울, 경기가 많았으며, 인구수 대비 이용 비율은 세종이 가장 높았다.

   * 진찰료 청구 누락 등으로 초,재진 건수 합계(153,276건)보다 총 비대면진료 건수(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관리료 청구건수, 153,339건)가 63건 많음

감염병예방법에 근거,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하여 제한 없이  허용되었던 한시적 비대면진료와는 달리, 시범사업에서는 재진환자, 의료약자로 대상환자를 제한하여 이전에 비해 실시 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9월 14일(목) 14시 서울가든호텔(서울특별시 마포구)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개선 방향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보건복지부는 시범사업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시범사업 자문단 제5차 회의(8.29.)에서 보완계획을 논의하였다. 이번 공청회는 시범사업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전문가와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의료접근성 제고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시범사업 개선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현장의견을 신속하게 검토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비대면진료 제도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첨부

  • 담당부서

  • 전화번호044-202-3802

  • 최종수정일2023년 07월 10일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