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소개

현장앨범

일상돌봄 서비스 제공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 행사일2023-11-29
  • 분류제1차관소개 현장앨범
사진설명
  • 사진 1~2 : 보건복지부 제1차관, 2023년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현장방문 간담회에 참석해 의견을 나누고 있는 사진
  • 사진 3 : 보건복지부 제1차관,2023년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현장방문 간담회 단체사진
  • 사진 4 : 보건복지부 제1차관, 2023년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현장방문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에게 명함을 건네는 사진
  • 사진 5 : 보건복지부 제1차관, 2023년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현장방문 간담회에 참석해 의견을 나누고 있는 사진
  • 사진 6 : 보건복지부 제1차관, 2023년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현장방문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와 회의장으로 이동하고 있는 사진
  • 사진 7~11 : 보건복지부 제1차관, 2023년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현장방문 간담회에 참석해 의견을 나누고 있는 사진

보건복지부, 일상돌봄 서비스 

제공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 이기일 제1차관, 일상돌봄 서비스 제공기관 방문 -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11월 29일(수) 오전 10시, 서울시 서대문구청 및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서대문종합재가센터를 방문하여 ‘일상돌봄 서비스’ 제공 현장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하였다.


  서울시 서대문구는 기초자치단체로는 최초로 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가족돌봄청년 지원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난 7월에는 보건복지부의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수행지역으로 선정되어 가족돌봄청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회서비스 고도화*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일상돌봄 서비스 사업’은 질병, 고립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중장년과 가족돌봄청년에 돌봄·가사, 병원 동행, 심리 지원 등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사업이다. 지난 7월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사업수행 지역 공모를 거쳐 16개 시?도의 51개 시?군?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사회서비스의 양을 확대하고 질을 높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5.31. 보도자료, ‘국민이 체감하는 선진 복지국가 전략 수립’ 참조]


  정부는 2024년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수행지역을 확대하고 관련 홍보 및 안내를 강화해 보다 많은 국민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부터 새롭게 실시하는 가족돌봄청년 지원 시범사업**과 (가칭)청년미래센터 설치 및 전담 인력(돌봄 코디네이터) 배치로 ▲밀착 사례관리, ▲자기돌봄비(연 200만 원), ▲정서회복 지원(자조모임, 멘토링 등) 등을 실시하고 가족돌봄청년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 (‘23) 국비 186억 원 → (’24 정부안) 국비 335억 원


  ** 가족돌봄청년 지원 시범사업 : (’24 정부안) 국비 21억 원(신규), 시범사업 후 전국 확대 추진(’26~)

  이날 이기일 제1차관은 서대문구청뿐만 아니라 가족돌봄청년에게 재가 돌봄 및 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서대문종합재가센터를 방문하여 현장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고 현장의 목소리와 생생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이기일 제1차관은 “일상돌봄 서비스 수행지역 확대와 서비스 고도화로 가족돌봄청년을 포함해 일상 속에서 돌봄이 필요한 분들이 더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가족을 책임지는 청년들이 좌절하지 않고, 본인의 꿈을 지키고 키워나갈 수 있도록 가족돌봄청년 지원 시범사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첨부

  • 담당부서

  • 전화번호044-202-3802

  • 최종수정일2023년 07월 10일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