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보도자료

2025년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사업 참여기관 모집 공고

  • 작성일2025-06-23 11:22
  • 조회수947
  • 담당자조성원
  • 담당부서사회서비스정책과

2025년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사업 참여기관 모집 공고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등 5종의 서비스 수행기관 대상으로 선발 -
- 6월 23일(월)~7월 11일(금) 신청 접수, 사업설명회 및 사전 컨설팅 개최 -
- 품질 우수 기관 20여 개소 선발해 현판 및 인증마크 등 제공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중앙사회서비스원(원장 조상미)은 6월 23일(월)부터 7월 11일(금)까지 ‘2025년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사업’의 참여기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는 ①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②아동·청소년 심리지원, ③아동·청소년 비전형성, ④발달재활서비스, ⑤가사·간병 방문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 중 우수한 사회서비스 품질을 가진 기관을 선발하는 제도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60개 기관**에게 인증을 수여해왔다.

   *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바우처를 이용하지 않는 기관도 참여 가능

  ** △2022년 14개, △2023년 23개, △2024년 23개 등 총 60개

 5개 영역, 28개 지표에 대한 평가를 통해 선발된 기관은 ▲품질인증서 및 품질인증 현판 수여 ▲기관 홍보물, 매체 등에 ‘사회서비스 품질인증’ 마크 활용 가능 ▲사후 컨설팅 등을 통한 지속적 품질관리 및 교육 등의 혜택을 받게 되며 인증은 교부시점부터 3년간 효력을 가진다.

 올해는 가사·간병방문 지원 사업이 대상 사업에 신규로 추가되었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항목을 간소화하고 각 서비스의 특수성을 보다 반영하는 방향으로 품질인증 평가 지표도 개선*하였다.

   * △인증 지표 32개 → 28개, △재가방문형·기관방문형 간 지표 분리

 ‘2025년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사업’은 총 20여 개 참여기관을 선발할 예정*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중앙사회서비스원에서 운영하는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 최종 선발 개소 수는 접수 상황 등 고려해 변동 가능

신청ㆍ접수 안내

◇ 신청 기간

   - 6월 23일(월) ~ 7월 11일(금) 18:00

 ◇ 인증신청 공고

   - 중앙사회서비스원 누리집(www.kcpass.or.kr) 알림마당 품질인증제

 ◇ 인증신청 방법

   - 접수방식 :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접수 (https://qe5uuzkt.ninehire.site)

    * 인증 수수료 : 무료

 ◇ 문의처

   - 중앙사회서비스원 품질평가부(02-2271-9050, 9052, 9095, 9096)

  중앙사회서비스원은 2025년 변화되는 인증 지표 등을 알리기 위해 제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며, 신청·접수를 마감한 이후에는 응모 기관을 대상으로 사전 컨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 (일시·장소) 1차6월 23일 경기 화성시, 2차6월 24일 충북 청주시, 3차6월 25일 광주 서구, 4차6월 26일 대구 동구, 5차6월 27일 강원 춘천시

  ** 응모 기관의 지역별 분포 등 토대로 계획 수립 후 별도 공지 예정

 사회서비스 품질인증 제도의 인증신청 요건, 인증기관 현황 등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사회서비스원 누리집(https://ww.kcpass.or.kr) 알림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사업 개요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5년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사업 참여기관 모집 공고.hwpx ( 85.44KB / 다운로드 151회 / 미리보기 64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5년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사업 참여기관 모집 공고.pdf ( 293.6KB / 다운로드 152회 / 미리보기 62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