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전체
2021년 한국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 337.4조 원, GDP의 15.2%
- 작성일2025-04-09 11:01
- 조회수4,727
- 담당자이용빈
- 담당부서사회보장총괄과
2021년 한국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 337.4조 원, GDP의 15.2%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Social Expenditure Update 2025」 발표 -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가 4월 8일(화) 공표한「OECD Social Expenditure(SOCX) Update 2025」*에 의하면 2021년도 한국의 공공사회복지 지출 규모는 337.4조 원이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15.2% 수준이다.
* 사회보장 수준 파악 및 국제비교가 가능한 지표로, 사회보장 정책 평가·수립 근거로 활용
2020년과 2021년의 공공사회복지지출은 각각 304.7조 원(GDP 대비 14.8%), 337.4조 원(15.2%)으로 발표되었다. 이는 2019년 대비 2020년에는 30.7%, 2020년 대비 2021년에는 10.7% 증가한 수치이며, 이는 코로나19 대응 한시 재난지원금, 공적연금 및 의료비 지출 증가 등에 따른 것이다.
GDP 대비 우리나라의 공공사회복지지출 비중은 ’21년 기준 OECD 평균의 약 69% 수준이며, 이는 ’19년에 비해 12.3%p 증가해 격차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1년부터 2021년까지의 공공사회복지지출 증가율은 연평균 12.2%로, OECD 평균(5.7%)의 약 2배에 이르는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 OECD 평균 대비 우리나라 공공사회복지지출 수준 >
세부적으로, 9대 정책영역 중 보건(113.0조 원), 노령(74.6조 원), 가족(34.3조 원) 순으로 지출 규모가 컸으며, 이들 세 영역이 전체 지출의 약 65.8%를 차지했다. 실업·주거·적극적 노동시장정책(ALMP), 기타사회정책 분야는 OECD 평균을 상회하나, 노령·가족·유족·근로무능력 영역은 여전히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9대 정책영역별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 ]
(단위: 조 원, %)
구분 |
2020 |
2021 |
OECD 평균(‘21년) |
||||
규모 |
비중 |
GDP대비 비중 |
규모 |
비중 |
GDP대비 비중 |
GDP대비 비중 |
|
보건 |
96.2 |
31.6 |
4.7 |
113.0 |
33.5 |
5.1 |
6.6 |
노령 |
67.9 |
22.3 |
3.3 |
74.6 |
22.1 |
3.4 |
7.7 |
가족 |
35.8 |
11.8 |
1.7 |
34.3 |
10.2 |
1.5 |
2.3 |
기타사회정책* |
36 |
11.8 |
1.7 |
32.6 |
9.7 |
1.5 |
0.7 |
실업 |
19.3 |
6.3 |
0.9 |
30.6 |
9.1 |
1.4 |
1.0 |
근로무능력 |
18.1 |
6.0 |
0.9 |
19.4 |
5.8 |
0.9 |
2.0 |
적극적노동시장 |
13.5 |
4.4 |
0.7 |
14.1 |
4.2 |
0.6 |
0.6 |
주거 |
9.3 |
3.0 |
0.5 |
9.7 |
2.9 |
0.4 |
0.3 |
유족 |
8.6 |
2.8 |
0.4 |
8.9 |
2.6 |
0.4 |
0.8 |
계 |
304.7 |
100.0 |
14.8 |
337.4 |
100.0 |
15.2 |
22.1 |
* 기타사회정책 : 정책영역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저소득층, 이민자, 북한이탈주민 등 대상의 급여 및 서비스
보건복지부 임혜성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장은 “이번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의 공공사회복지지출 수준이 여전히 낮지만, 최근 10년간 증가 속도가 빠른 점은 주목해야 한다”라며, “이번에 공표된 OECD 사회복지지출을 심층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 운영에 필요한 개선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붙임> OECD Social Expenditure (SOCX)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