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보건의료 및 바이오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 작성일2001-07-19 10:26
  • 조회수8,406
  • 담당자김현진
  •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로부터 보건의료·생명과학 등 보건산업「기술거래 및 평가전문기관」으로 지정 받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張任源)은 보건복지부 연구개발비를 지원한 보건의료 및 바이오관련 과제를 대상으로 이전·도입희망기술조사 및 기술평가전문가등록을 2주간 시범 실시한 결과 의약품 및 의료공학관련 18개 이전대상기술과 4개의 도입기술이 등록되었으며, 등록된 기술평가전문가 315명이라고 밝혔다. ▶ 진흥원은 현재 등록된 20개 기술 이외에 오는 9월까지 연구개발지원과제 1,200개 중 특허기술로 등록된 700건의 기술과 기술제공 업무협약기관으로부터 기술을 추가로 등록 받아 기술성, 시장성 등 전문적인 평가절차를 걸쳐 최종 \"추천기술\"로 등록할 예정이며, 본 사업의 완벽한 Network가 구축되는 9월에는 첫 기술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 또한 보건산업기술이전사업의 이전대상기술분류를 위하여 의료기술, 의약품, 의료공학, 식품과학, 화장품 등 5개 대분류로 분류하고 총 726개의 4단계 기술체계( 5대분류 - 24중분류 - 149개소분류)로 분류하였다. ▶ 보건산업기술개발에 대해 전문적인 기술가치평가를 통해 기술제공자와 기술수요자간의 효과적인 기술이전 중개·지원으로 그 동안 문제점이었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사업화 부족에 따른 기술유통의 병목현상과 미약한 기술료 징수 체계, 국내 보건산업분야의 기술도입대가(royalty)가 급증(\''95 → \''97 : 전 산업평균 24%, 의약품(화장품 포함) 175%, 식품 87%)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보건산업체를 유망기술과 제품의 개발지원 및 성과확산은 물론 보건산업을 21세기 미래핵심전략산업으로 이끌어 나갈 계기가 될 것이다. < 기술이전 희망기술 > ○ 인공각막과 그 수술방법 ○ 생체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치료제형 및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 인체 장기 및 조직보존액 개발과 활용시스템 확립 ○ 저심독성 신규 항암 anthracycline계 유도체 개발 ○ 편마비 환자용 단하지 보조기의 임상 설계 ○ 인체 모낭의 성장주기에 따른 표피단백질의 발현 ○ 환경성 발암물질 및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의 hMLH1과 pS2 유전자 promoter의 과메틸화와 반복서열 불안정성, 그리고 p53 및 Ki-ras 돌연변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자역학적 연구 ○ 한국인에 호발하는 만성질환에 관련된 10개 유전자 유형의 탐색 ○ 독성, 환경호르몬 및 치료제 평가를 위한 인간화 형질전환 동물시스템 ○ 전자식 고에너지 X-선 영상장치 ○ 생약성분을 process 처리하여 약효를 증진시킨 관절염 치료제 ○ 인체내의 공기유동 해석 ○ 지방간 예방을 위한 기능성 육가공식품개발 ○ 조혈모세포의 체외증폭 및 세포분화 유도 ○ 유전자 재조합 쯔쯔가무시병 진단시약 ○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 시스템을 위한 영상처리 기술 개발 등 < 도입 희망기술 > ○ 가정위생용품(952/KS) ○ 식물보호 및 성장관련 천연물질(Plant-care material) 및 이들의... ○ Dignostic Analizer(음원 이용 종합검진 시스템) ○ 조직공학 자세한 사항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을 참고하세요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