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검색어
통합검색
뉴스/법령 : 6 건
-
-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일부개정 2021.12.29.
- 의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332호, 2021.12.28.)」을 다음과 같이 개정ㆍ발령합니다. 2021년 12월 29일 보건복지부장관 주요 개정사항 : 다중수면잠복기검사의 급여기준 및 인정횟수 신설, 다중수면잠복기검사와 연계한 수면다원검사의 급여 인정횟수 추가 시행일 : 2022년 1월 1일 ※ 관련 문의 : 보건복지부 (044 - 202 - 2661,...
- 홈 > 정보 > 법령 > 훈령/예규/고시/지침
-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일부개정 2021.12.08.
- 제5항까지, 제9조제1항, 제11조제1항, 제12조제2항 및 제13조제1항·제3항에 의한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293호, 2021.11.30.)를 다음과 같이 일부개정 발령합니다. 2021년 12월 8일 보건복지부장관 주요 개정사항 - 다중수면잠복기검사의 건강보험 급여 목록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신설 시행일 :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
- 홈 > 정보 > 법령 > 훈령/예규/고시/지침
-
- 「요양비의 보험급여 기준 및 방법」고시 일부개정안 2018.07.02.
- 요양비 지급 대상자, 기준금액 및 지원금액, 업소등록기준 등 구체화 및 관련 서식 신설(안 제5조의3, 제7조제1항제7호, 제7조제2항제5호, 별표 5, 별표 6, 별지 제2호의4서식, 별지 제4호의4서식 등) 가. 대상자: 수면무호흡(폐색성 수면무호흡 등), 신생아의 원발성 수면무호흡, 신생아의 기타 무호흡의 상병으로 양압기가 필요하다고 진단 받은 자 나. 급여품목: 양압기...
- 홈 > 정보 > 법령 > 훈령/예규/고시/지침
이미지/동영상 : 3 건
-
박민수 2차관, 수술실 CCTV 설치 의무대상 의료기관 현장방문 2023.10.04.
-
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 이대 목동병원 방문하여 간호사 근무환경 개선방안 의견수렴 2023.04.24.
-
박민수 2차관, 간호사 근무환경 개선 제안 청취 2023.04.24.
정책 : 1 건
-
- 건강검진 < 건강증진 < 건강 < 정책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2024.12.17.
- ● ● 수면 영아돌연사 증후군 ● ● 구강 문진 치아발육상태 ● 대소변가리기 대소변가리기 ● ● 전자미디어노출 전자미디어노출 ● ● ● 정서 및 사회성 사회성 발달 ● ● 개인위생 개인위생 ● 취학 전 준비 취학 전 준비 ● ● 구강 검진 진찰 및 상담 치아우식증 ● ● ● ● 치아검사 기타 검사 및 문진 ※ 1차검진(18~29개월)...
- 정책 > 건강
보건복지부웹문서 : 3 건
-
- 낯선 행복과 익숙한 불행 사이 | 디딤돌 가을호 2024.12.07.
- 자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자기 삶에 있어 수면 위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찾아왔을 겁니다. 여기에 ‘더 나은 방식이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게 찾아온 상담실이지만 의심의 눈초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내가 과연 변할 수 있기는 한 걸까?’ 하면서 말입니다. 이렇게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들도 마음속에는 변화에 대한 기대가...
- 한국장애인개발원
-
- 유형 및 징후 2024.12.03.
- 행동(자살시도) 범죄행위 우울, 불안, 사회관계의 단절 수면장애 유뇨증/유분증 섭식장애(폭식증/거식증) 야뇨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저조한 학업수행 방임(Neglect)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 (아동복지법 제3조 제7호) 아동학대 유형의 내용과 예시를 나타낸 표 내용 보호자가 아동에게 위험한 환경에 처하게 하거나 아동에게 필요한 의식주, 의무교육, 의료적...
-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
- 임신단계별 증상과 관리 < 장애와 임신 < 장애와 여성 |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포털 2024.12.03.
-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장애 많은 여성이 임신 후기에 수면장애를 겪습니다. 밤에 소변을 보고 싶거나 다리 근육이 굳거나 태동, 불편한 자세 때문입니다. 평평한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우면 혈관을 눌러 혈액순환을 방해할 수 있고 소화장애, 요통, 호흡장애를 불러올 수 있어요. 이때 가장 좋은 방법은 쉬거나 잠을 잘 때 자신에게 편한 자세를 찾는 것입니다. 잠을 좀 더...
- 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 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