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정보

사업

보건의료과학단지 조성사업 안내

  • 작성일1999-06-19 12:57
  • 조회수4,936
  • 담당자 보건의료과학단지과
  • 담당부서보건의료과학단지과
1. 추진배경 및 전략 ○ 보건의료산업은 성장속도가 빠른 두뇌집약형, 탈공해형, 자원절약형, 고 부가가치 창출형의 21세기 핵심 국가전략산업이나, 우리나라는 산업지원 대상에서 제외됨으로써 해외기술 의존도가 높아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 정임 ○ 따라서 보건의료산업을 집중육성하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기초과 학·응용과학·기술·생산지원 등이 종합적으로 연계되는 미래형 보건 의료과학단지의 조성이 필요함 ※ 미국의 실리콘밸리, 일본의 쯔꾸바 연구학원도시 등 ○ 보건의료 관련 기관 및 기능의 집중배치와 시설의 공동활용, 인력·기 술·정보 등 지원기능이 효율적으로 작동되는 테크노파크로 개발 - 30∼50년을 내다보는 장기 비젼을 갖고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심도 있는 운영시스템 개발 ○ 21세기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외국첨단기업 입주 등 국제적 수준 의 단지 조성 2. 조성사업 추진경위 ○ 94. 11. 29 : 보건의료과학기술 혁신방안 확정(보건복지부) ○ 96. 12. 7 : 단지조성사업 및 입지 타당성 양호 평가(건설교통부) ○ 97. 9. 23 : 국가산업단지로 지정 고시(건설교통부) ○ 97. 12. 16 : 한국토지공사를 1단계 개발사업자로 지정(건설교통부) ○ 98. 8. 15 : 문화재유물 지표조사 완료(한국토지공사) ○ 98. 12. 20 : 토지이용현황 항공측량 실시(한국토지공사) ○ 99. 2. 2 : 보건의료과학단지조성 추진계획 확정(보건복지부) 3.조성내용 ○ 위치 : 충북 청원군 강외면 오송 지역(오송 신도시 개발구역에 포함) ○ 조성규모 : 총 276만평 - 1단계(2004년) : 192만평 - 2단계(2006년) : 84만평 ○ 분양 예정가격 : 평당 50만원 이내 ○ 단지조성의 기대효과 - 약 4조 6천억원의 투자로 국가 및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 총 42,000여명의 신규고용 창출효과 기대(연구인력 6,800명, 생산인력 17,300명, 3차산업 인구 17,800명) 4.『보건의료과학단지』의 입지여건 ○ 청주시(24.5km)와 조치원읍(7km)사이의 오송역 기점 동북방면 -교통 ① 철도 : 경부선, 충북선, 경부고속전철(서울에서 30분) ② 도로 : 경부 및 중부고속도로, 국도 1호선 및 36호선 ③ 항공 : 청주공항(17km) ④ 항만 : 아산항(60km) -용수 : 대청댐 2단계 광역상수도 이용 (공업용수 65,000톤, 생활용수 24,000톤) -인접단지 : 대덕연구단지(27km), 오창과학산업단지(10km) 5. 『보건의료과학단지』의 특징 ○ 보건의료과학기술 특화단지 - 유치업종 : 연구기능 중심의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체, 식품·제약 등 의 재료·완제품생산 계열업체, 의료기기·전기·전자·기 계 등 관련 산업체 - 유치기술 : AIDS·노인성치매 등 난치병, 인공장기·첨단의료기기 등 차세대 의료기기, 신약·식품개발, 한의학의 과학화 등 전 통 의료기술 ○ 수요자 중심의 단계적 개발 - 공급자 중심의 일괄개발분양 방식을 지양하고 수요자 중심의 단계적 개발 방식을 도입하여 초기의 투자재원을 최소화하고 미래의 신기술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가용용지를 확보함 6. 유치대상기관 ○ 국가기관 및 보건복지부산하 연구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국립독성연구소 포함) - 국립보건원(산하 부설연구소 포함)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민간연구기관 - 보건의료 관련 국내·외 민간연구기관 - 연구기능 중심의 제약·식품·의료기기 관련 산업체 ○ 연구 및 생산 지원시설 - 인큐베이션센터(창업보육센터) - 정보센터(보건의료정보망구축 및 정보의 공동활용촉진, 보건의료산업제 품 정보수집 생산 보급의 중심기관) - 의과학센터(보건의료과학기술원) - 컨벤션센터(회의·전시·숙박·관광·레저시설을 갖춘 복합회의 단지) - 종합의료센터(종합병원 기능 외에 임상, 기초의학연구 관련 기관의 협 동진료 및 상호 공동연구) ○ 외국인기업 전용단지 - 약 20만평(조성면적의 7.2%)을 조성. 식품·의약품·의공학 등 첨단 신소재산업 유치 ○ 주거·교육·문화·복지·후생시설 등 생활편의시설 7. 입주업체에 대한 세제혜택 및 금융지원 ○ 세제혜택 - 취득세·등록세·법인세·소득세·종합토지세·재산세 등 감면 ○ 금융지원 - 중소기업진흥공단의 협동화사업자금, 한국산업은행의 시설설비자금, 연 구기관에 재정투융자자금 등 기업체 및 연구기관에 대한 지원 -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자금 지원 등 특별지원 ○ 벤처기업에 대해 기술우대보증특례제도 인정 등 행정지원 8. 99년 하반기 주요 계획 ○ 보건의료과학단지 개발실시계획 수립 및 승인 - 개발실시계획 수립(토지공사, 99년 9월 예정) : 개발 설계, 공사비산출, 각종 영향평가서 작성 - 개발실시계획 승인(건설교통부) : 승인 신청일로부터 통상 6개월 소요 ○ 입주수요조사( 99년 6월∼8월) - 입주여부, 시기, 면적, 업종 등을 조사해 단지개발의 세부계획에 반영 ○ 지원시설모형 개발( 99년 6월∼2000년 3월) - 전문연구기관에 의뢰하여 단지의 취지에 맞는 연구지원시설 및 생산지 원시설의 모형 개발 ○ 보건의료과학단지 발전위원회 구성( 99년 9월) - 구성 : 보건의료관련 학계, 산업체,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 15인 이내 - 기능 : 단지조성 방향, 단지관리 운영 방침 등 심의 자문 ○ 보건의료과학단지 실무협의회 구성( 99년 9월) - 구성 : 보건복지부·이전대상기관·토지공사·충청북도 등의 실무책임 자로 구성 - 기능 : 이전계획수립 및 추진 등을 위한 실무 협의 연락처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과학단지담당관실 ☎ 503-7560, 500-3088 (FAX 507-3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