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정보

발간자료

2006.7월) 5개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학술용역보고서

  • 작성일2008-07-22 00:00
  • 분류발간자료
  • 조회수6,469
  • 담당자 관리자
  • 담당부서통계담당관

▶  5개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학술용역보고서



▶ 보건복지가족부 학술연구보고서  2006.7월



▶ 수록표 목차



〈표 2- 1〉 합계출산율 및 출생아수 변동 추이, 1960~2005

〈표 2- 2〉 OECD 주요 국가의 합계출산율 변동추이, 1970~2005

〈표 2- 3〉 초혼연령 변동 추이

〈표 2- 4〉 가임기(15~49세) 여성의 미혼율 변동 추이, 1970~2005

〈표 2- 5〉 유배우 여성(20~44세)의 초혼연령별 평균 출생자녀수

〈표 2- 6〉 출산율 하락에 대한 기여도

〈표 2- 7〉 청년층 실업률 추이

〈표 2- 8〉 청년층 종사상지위 변화 추이

〈표 2- 9〉 취업여부별 미혼남녀(25~39세)의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않은 이유

〈표 2-10〉 유배우부인(20~39세)의 종사상 지위별 향후출산계획비율

〈표 2-11〉 남편의 종사상 지위별 향후출산계획비율

〈표 2-12〉 주택가격지수 추이, 1986~2003

〈표 2-13〉 국가별 GDP대비 공교육비 비중, 2001

〈표 2-14〉 교육비 지출 추이, 2000~2004

〈표 2-15〉 자녀연령 및 자녀수별 양육비 규모

〈표 2-16〉 소득수준별 출산중단(단산) 이유(2자녀 이하)

〈표 2-17〉 가임기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1990~2005

〈표 2-18〉 가임기 여성의 직업 분포, 1993~2004

〈표 2-19〉 1인당 연간 근로시간 국제비교

〈표 2-20〉 유배우여성(20~44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남편과 가정일의 공평 정도

〈표 2-21〉 유배우여성(20~44세)의 일반특성별 남편과 집안일 분담 정도

〈표 2-22〉 유배우여성(20~44세)의 가정일 투여시간

〈표 2-23〉 유배우여성(20~44세)의 남편의 가정일 투여시간

〈표 2-24〉 미혼남녀(20~44세) 연령별 결혼연기 이유

〈표 2-25〉 유배우여성(20~44세)의 출산중단 이유

〈표 2-25〉 기혼여성(20~44세)의 결혼 전후 경력단절 경험 및 이유

〈표 2-26〉 기혼여성(20~44세)의 출산순위별 출산 전후 6개월 이내 근무형태 변경 여부

〈표 2-27〉 기혼여성(20~44세)의 출산순위별 출산전후 6개월 이내 직장을 그만둔 이유

〈표 2-28〉 첫째아 출산 전후로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취업기혼여성(20-44세)의

                  직종별 첫번째 직장의 직종

〈표 2-29〉 첫째아 출산 전후로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취업기혼여성(20~44세)의

                 종사상 지위별 첫번째 직장의 종사상 지위

〈표 2-30〉 전국 가구내 부부경제활동유형 변화(1990~2000)

〈표 2-31〉 세대별 구성비 변화

〈표 2-32〉 미취학자녀를 두고 있는 취업 유배우여성(20~44세)의 희망 자녀양육자

〈표 2-33〉 보육시설 유형별 시설 및 이용아동 현황, 2005

〈표 2-34〉 보육시설에 맡기기 희망하면서도 맡기지 않은 이유

〈표 2-35〉 기혼여성(20∼44세)의 가구소득별 출산?양육관련 사회지원 선호도, 2005

〈표 2-36〉 기혼여성(20~44세) 특성에 따른 임신종결 형태별 구성비, 2005

〈표 2-38〉 미혼남녀(20~44세)의 일반적인 결혼관, 2005

〈표 2-39〉 기혼여성의 자녀 필요성에 대한 태도 변화, 1997~2005

〈표 2-40〉 유배우 부인(20~44세)의 자녀효용에 대한 가치관, 2005

〈표 2-41〉 평균수명 전망

〈표 2-42〉 노인인구 변동전망

〈표 2-43〉 OECD 국가의 노인인구 비율 추이(2005~2050)

〈표 2-44〉 주요국의 인구고령화 속도

〈표 2-45〉 노인인구의 연령 구조

〈표 2-46〉 노인비율 9% 수준 당시 합계출산율 국제비교, 2005

〈표 2-47〉 65세 이상 노인의 생계수단(2000)

〈표 2-48〉 고령자(55~79세)의 취업의사 및 취업을 원하는 이유

〈표 2-49〉 노인 1인 가구 변동 전망(2005-2020)

〈표 2-50〉 노인부양비 추이 및 전망

〈표 2-51〉 국민연금 가입자 및 수급자수 전망

〈표 2-52〉 연금 가입자 및 수급자수 추이(2005~2070), 2003

〈표 2-53〉 노인유병률(1가지 이상 만성질환이 있는 비율)

〈표 2-54〉 공공의료비 중 65세 이상 노인의료비 추이

〈표 2-55〉 노후의 시간활용 계획

〈표 2-56〉 생산가능인구 평균연령 전망

〈표 2-57〉 산업별 평균연령(세) 추이, 1994~2003

〈표 2-58〉 인적자본지수 증가율 전망(2003~2050), 2004

〈표 2-59〉 자본스톡 증가율(TFP 증가율=1.5% 가정시) 전망(2003~2050)

〈표 3- 1〉 정부추진 출산지원시책 개요

〈표 3- 2〉 지방자치단체 자체예산에 의한 출산지원시책 개요

〈표 3- 3〉 우리나라 인구정책(출산관련) 내용 변천(1960년~2006년 2월)

〈표 3- 4〉 OECD 주요국 고령인구(55~64세) 고용률 비교

〈표 3- 5〉 OECD 및 동아시아 국가의 출산율 및 고령화 수준 구분

〈표 3- 6〉 프랑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2004)

〈표 3- 7〉 프랑스 중고령자 경제활동참가율(2004)

〈표 3- 8〉 프랑스 고령화 대책 추진 내용

〈표 3- 9〉 스웨덴의 여성경제활동참가율(2004)

〈표 3-10〉 스웨덴의 고령화 대책 추진 내용

〈표 3-11〉 고출산국가의 정책성공요인

〈표 3-12〉 독일의 고령화 대책 추진 내용

〈표 3-13〉 일본의 여성경제활동참가율(2004)

〈표 3-14〉 일본의 중고령자 경제활동참가율(2004)

〈표 3-15〉 일본의 고령화 대책 추진 내용

〈표 3-16〉 저출산국가의 저출산요인

〈표 4- 1〉 유배우부인(20~44세) 연령별 기대자녀수에 따른 합계출산율 추정

〈표 4- 2〉 합계출산율 가정별 총인구 변동 전망

〈표 4- 3〉 합계출산율 가정별 총인구 변동 전망

〈표 4- 4〉 합계출산율 가정별 생산가능인구(15~64세) 평균연령 변동 전망

〈표 4- 5〉 합계출산율 가정별 노인인구(65세 이상) 비율 변동 전망

〈표 4- 6〉 합계출산율 가정별 노인인구(65세 이상) 비율 변동 전망

〈표 4- 7〉 합계출산율 가정별 잠재성장률 변동 전비 지원 현황

〈표 6- 2〉 영?유아 보육시설이용 월평균비용

〈표 6- 3〉 차등보육?교육비 지원계획

〈표 6- 4〉 만5세아 및 두자녀 이상 가구에 대한 보육?교육비 지원계획

〈표 6- 5〉 방?? 보육시설이용 월평균비용

〈표 6- 7〉 교육비 지출 추이, 2000~2004

〈표 6- 8〉 자녀 1인당 소득공제 규모, 2005

〈표 6- 9〉 가구유형별 소득세 부담률 격차 국제비교

〈표 6-10〉 가구지출 생활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

〈표 6-11〉 주택가격지수 추이, 1986~2003

〈표 6-12〉 미혼남녀(25~39세)의 결혼하지 않은 이유, 2005

〈표 6-13〉 주택소유 여부별 평균 출생아수, 2005

〈표 6-14〉 주요국가의 출산율과 주거비 부담 비교, 2001

〈표 6-15〉 국외입양 추이, 1958~2004

〈표 6-16〉 아동수당 도입에 대한 찬반양론

〈표 6-17〉 주요 선진국의 육아정책관련 재정지원

〈표 6-18〉 유럽 국가들의 아동수당 차등 적용 기준, 2000~2002

〈표 6-19〉 외국의 아동수당관련 정책효과 분석 결과

〈표 6-20〉 보육시설 유형별 시설 및 이용아동 현황, 2005

〈표 6-21〉 영유아 연령별 육아지원시설 이용현황, 2005

〈표 6-22〉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현황(2005)

〈표 6-23〉 직장보육시설 지원계획

〈표 6-24〉 보육료와 표준보육비용 비교, 2005

〈표 6-25〉 보육시설에 대한 정부지원 현황, 2005

〈표 6-26〉 유배우부인(20~44세), 미혼여성(20~44세)의 자녀수와 취업형태의

                  이상적인 조합에 대한 선호도, 2005

〈표 6-27〉 모자보건사업에 의한 선천성대사이상검사 종류 및 지급비용

〈표 6-28〉 15~44세 유배우부인의 특성별 최종출생아에 대한 선천대사이상검사 수검 여부

〈표 6-29〉 3차 진료기관 1개소 당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병상 보유 실태

〈표 6-30〉 3차 의료기관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 인력 현황

〈표 6-31〉 3차 의료기관 신생아 집중치료실 장비 현황

〈표 6-32〉 선천성 이상아 및 미숙아 등록관리사업실적

〈표 6-33〉 15~44세 유배우부인의 최종출생아 모유수유 실태

〈표 6-34〉 유배우 부인(20~44세)의 인공임신중절 실태

〈표 6-35〉 우리나라 임신 중절 관련 법률

〈표 6-36〉 OECD 주요국가별 임신중절 관련 법률 및 현황

〈표 6-37〉 모유수유율 제고 계획(안)

〈표 6-38〉 연령별 불임부부 추계, 2003

〈표 6-39〉 보조생식술의 각 나라별 지원 방법

〈표 7- 1〉 산전후휴가급여 활용 실적

〈표 7- 2〉 OECD 13개국의 모성 및 부성휴가제도 현황

〈표 7- 3〉 육아휴직 활용 실적

〈표 7- 4〉 13개 비교대상국가의 여성노동시장 현황

〈표 7- 5〉 GDP 대비 양육지원정책에 대한 지출 비율

〈표 7- 6〉 3세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상태 및 휴가사용 현황

〈표 7- 7〉 부모휴가제도 현황

〈표 7- 8〉 기혼여성(20~44세)의 일반특성별 일과 자녀수의 조합에 대한 태도

〈표 7- 9〉 출산여성재취업장려금 지급실적

〈표 7-10〉가족친화적 직장문화 조성단계

〈표 8- 1〉 아동인구의 연간 대형사고 및 경미사고 발생률

〈표 8- 2〉 연도별, 학급별 학교안전사고 발생건수

〈표 8- 3〉 사고원인별 학교안전사고 발생건수

〈표 8- 4〉 학교안전사고 발생현황

〈표 8- 5〉 아동학대 건수와 유형

〈표 8- 6〉 학대 피해 아동의 연령 및 가족유형

〈표 8- 7〉 학대 가해자의 특성 및 피해아동과의 관계

〈표 8- 8〉 학교폭력 발생 추이

〈표 8- 9〉 학교폭력사범 단속 현황

〈표 8-10〉 학교폭력 유형별 주요 피해 장소

〈표 8-11〉 학교폭력 유형별 가해자

〈표 8-12〉 학교폭력 피해발생 시 도움요청 대상자

〈표 8-13〉 사고유형별 아린이 사망사고 추이

〈표 8-14〉 청소년폭력의 원인

〈표 8-15〉 청소년폭력의 발생과정

〈표 8-16〉 청소년수련시설 현황(2005. 3월 현재)

〈표 8-17〉 연도별 가출청소년 현황

〈표 8-18〉 성별, 연령별 가출현황

〈표 8-19〉 주요 원인별 청소년 발생현황

〈표 8-20〉 연도별 청소년범죄 발생현황

〈표 8-21〉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

〈표 8-22〉 인터넷 중독자 현황

〈표 8-23〉 청소년 유해업소 현황(2003년 12월 현재)

〈표 8-24〉 청소년의 약물사용 경험실태(2002)

〈표 8-25〉 청소년 흡연율(2002)

〈표 8-26〉 청소년 음주율(2002)

〈표 8-27〉 학급별 보건교사 배치현황(2005. 4 현재)

〈표 8-28〉 연도별 아동복지시설수 및 보호아동수 현황

〈표 8-29〉 상담유형별 청소년 상담실적(2005)

〈표 8-30〉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 지정 현황(2005)

〈표 8-31〉 청소년유해매체물 결정?고시현황(2005. 6 현재)

〈표 8-32〉 주요국가 아동권리 모니터링 및 보호사례(OECD 국가를 중심으로)

〈표 8-33〉 UN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의 주요 내용

〈표 10- 1〉 연도별?가입종별 평균소득월액 현황

〈표 10- 2〉 비정규직 근로자의 연도별 현황

〈표 10- 3〉 다층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단계별 추진과제

〈표 10- 4〉 사회적 합의 추진 절차

〈표 10- 5〉 현행 제도 유지시 후세대의 보험료율

〈표 10- 6〉 GDP 대비 공적연금의 지출 규모 및 향후 추이

〈표 10- 7〉 재정안정화를 위한 외국 연금개혁 사례

〈표 10- 8〉 국민연금법 개정 관련 주요쟁점

〈표 10- 9〉 특수직역연금의 지출 및 적자보전 규모 추이

〈표 10-10〉 가입기간 연계에 따른 연금 수급자 증가 전망

〈표 10-11〉 가입기간 연계에 따른 연도별 재정소요 전망

〈표 10-12〉 65세 이상 노령연금수급자 월 급여액 분포(2005년 5월 말 기준)

〈표 10-13〉 연도별 경로연금 수급자 규모와 비용

〈표 10-14〉 2007년→2030년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자 규모의 변화

〈표 10-15〉 65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가구의 빈곤률

〈표 10-16〉 부양의무자 축소에 따른 신규수급자 및 필요재원 규모

〈표 10-17〉 20~59세의 공적연금 가입자 및 미가입자 현황 (2004. 12)

〈표 10-18〉 연도별 납부예외자 현황

〈표 10-19〉 납부예외자 사유별 현황

〈표 10-20〉 지역가입자 중 보험료 미납자의 미납기간별 현황

〈표 10-21〉 재정추계 모형에 의한 연금수급권 미획득자 규모

〈표 10-22〉 5인 미만 사업장 및 종사자 현황

〈표 10-23〉 과거근로기간에 대한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분할적립 적립금 수준

〈표 10-24〉 위험자산 투자한도

〈표 10-25〉 연금저축 세제혜택 개요

〈표 11- 1〉 평균수명의 추이

〈표 11- 2〉 우리나라 주요 사인의 변화 양상

〈표 11- 3〉 우리나라 만성병 질환 보유 현황의 변화

〈표 11- 4〉 연도별 노인급여비 증가추이

〈표 11- 5〉 안양시 동안구 노인보건센터 인력현황 (2005년)

〈표 11- 6〉 의료보장 적용 노인인구 및 노인 진료실적

〈표 11- 7〉 노인 1인당 연간진료비 및 의료이용횟수

〈표 11- 8〉 노인의 입원 다발생 진료 순위(2004년)

〈표 11- 9〉 노인의 외래 다발생 진료 순위(2004년)

〈표 11-10〉 노인의 의료보장 적용 추이(2000~2004)

〈표 11-11〉 노인 보험료 경감 현황

〈표 11-12〉 신체활동 강도의 분류

〈표 11-13〉 규칙적 운동실천율(한국기준)

〈표 11-14〉 규칙적 운동실천율(미국기준)

〈표 11-15〉 주요국가의 노인수발보험내용

〈표 11-16〉 노인수발보험법의 주요내용

〈표 11-17〉 재가노인복지사업의 현황

〈표 11-18〉 노인복지시설 현황

〈표 11-19〉 노인요양시설 확충 연차별 계획

〈표 11-20〉 치매노인수 추계(2000~2020)

〈표 11-21〉 치매의 정도별 유병률

〈표 11-22〉 최근 5년간 의료이용 치매환자수와 진료비 추이

〈표 11-23〉 최근 5년간 건강보험급여 중에서 치매 환자수와 진료비의 비중

〈표 11-24〉 주요 국가의 성별, 연령별 인구 100명당 치매 유병률

〈표 11-25〉 연도별 확충계획

〈표 11-26〉 연도별 확충계획

〈표 11-27〉 연도별 확충계획

〈표 11-28〉 치매 전문병원 및 치매병상의 확충계획

〈표 11-29〉 주 2~3회 이상 생활체육 활동 참여율 비교

〈표 11-30〉 참여종목 연도별 비교표

〈표 11-31〉 운동장소의 연도별 비교(%)

〈표 11-32〉 체육활동을 할 수 없는 이유의 연도별 비교(%)

〈표 11-33〉 세계 각국의 ‘Sport for All’ 운동

〈표 11-34〉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1인당 생활체육시설 면적

〈표 12- 1〉 노인 1인가구와 부부가구의 자가거주율

〈표 12- 2〉 고령자가구의 지역별/거주유형별 시설기준미달가구 비율

〈표 12- 3〉 도시와 농촌 고령자가구의 최저주거기준 중 시설기준미달가구 비율

〈표 12- 4〉 65세 이상 연령층의 주요사고원인(걸려 넘어짐 및 미끄러짐)에 의한

                   의료비 비용추정

〈표 12- 5〉 고령진입층의 주택개조정책 필요성 인식 조사 분석

〈표 12- 6〉 고령진입층의 주택개조정책 필요성 인식 조사 분석(고령자가 되었을 때) 519

〈표 12- 7〉 일본의 최저주거수준과 고령자 배려용 최저주거수준

〈표 12- 8〉 법률로 규정하고 있는 주택개조 기준(일본)

〈표 12- 9〉 법률로 규정하고 있는 주택개조 기준(영국)

〈표 12-10〉 일본, 영국, 미국의 보조금이 지원되는 노인주택 개조항목

〈표 12-11〉 2004년 공고된 최저주거기준

〈표 12-12〉 주택개조 기준안

〈표 12-13〉 2004년말 고령자수와 주거복지시설 입소 현황

〈표 12-14〉 전체인구대비 고령인구 비율이 비슷한 시기 한일간의 주거시설 현황비교

〈표 12-15〉 지역별 무료양로시설 현황

〈표 12-16〉 고령자 무료주거복지시설 개수 및 입소자 변화현황

〈표 12-17〉 고령자가구의 가족 동거를 위한 주택 우선분양 현황(2004년말 기준)

〈표 12-18〉 연령군별 선호하는 노후부양방법

〈표 12-19〉 선진국 공공부문의 노인주택 지원정책 사례

〈표 12-20〉 주요국 노인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2003년 기준)

〈표 12-21〉 고령자의 보도 장애물에 의한 부상여부 조사결과

〈표 12-22〉 고령자의 버스 안에서 넘어진 경험 여부 조사결과

〈표 12-23〉 고령자의 지하철 이용 불편사항 조사결과

〈표 12-24〉 주요국 횡단보도 보행시간 산정방법

〈표 12-25〉 노인일자리사업 유형

〈표 12-26〉 2005년도 노인일자리사업 실적

〈표 12-27〉 노인일자리사업 확대방안 (비예산 일자리수는 연도별 누적수치임)

〈표 12-28〉 2004년도 노인일자리 유형별 사업 내용

〈표 12-29〉 65세 이상 노인의 사회단체 가입률

〈표 12-30〉 연령별 문화기반시설 이용실태

〈표 12-31〉 지역별 노인복지관에서 가장 잘 운영되는 사업?프로그램

〈표 14- 1〉 성?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시나리오

〈표 14- 2〉 OECD 회원국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추이

〈표 14- 3〉 성별 사회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의 국제 비교(1998년)

〈표 14- 4〉 직업능력개발사업(노동부) 참여인원 중 여성비율(2003년)

〈표 14- 5〉 고용촉진훈련의 성별 훈련성과

〈표 14- 6〉 여성인력개발센터 직업능력개발 훈련 현황(2003년)

〈표 14- 7〉 재직자 향상 훈련의 여성참여 비율

〈표 14- 8〉 고령화 진전의 국제비교

〈표 14- 9〉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추이

〈표 14-10〉 평균연령 추이 및 향후 전망

〈표 14-11〉 정리해고시 고려요인

〈표 14-12〉 명예퇴직자 선정기준

〈표 14-13〉 채용시 연령제한 현황

〈표 14-14〉 계속고용제도 운영 현황

〈표 14-15〉 호봉이 고정적임금에서 차지하는 비중

〈표 14-16〉 연공급과 신규채용, 고령자비중 및 비정규직

〈표 14-17〉 퇴직에 대비한 회사차원의 지원제도 실시현황

〈표 14-18〉 전직지원장려금 지원실태

〈표 14-19〉 고령자 취업지원정책 현황(‘06 기준)

〈표 14-20〉 중고령자 고용 기피?여 실태

〈표 14-22〉 중고령 근로자의 특징

〈표 14-23〉 연도별 유학생 현황

〈표 14-24〉 체류자격별 전문외국인력 등록현황

〈표 14-25〉 주요 국가별 외국인 유학생수 추이

〈표 14-26〉 고용허가제를 통한 외국인근로자의 취업 현황

〈표 14-27〉 일반 고용허가(E-9) 현황

〈표 14-28〉 국제결혼의 추이

〈표 14-29〉 외국인 배우자 체류현황(2004. 9월말 현재)

〈표 15- 1〉 개인주도 학습 지원제도 이용 실적

〈표 15- 2〉 2004년도 직업능력사업 예산 불용률

〈표 15- 3〉 평생학습 목적과 논쟁

〈표 15- 4〉 산업재해에 따른 경제적 손실액 및 노사분규에 따른 생산차질액 비교

〈표 15- 5〉 산업재해에 따른 근로손실일수와 노사분규에 따른 노?별 산재장애인 수

〈표 16- 1〉 연령별 평균 소득 및 중위 소득

〈표 16- 2〉 노인층의 상대적 소득 분포

〈표 16- 3〉 노인층의 소득원별 구성비

〈표 16- 4〉 연령별 종사상 지위 구성

〈표 16- 5〉 노동시장 참가 동기: 국제비교

〈표 16- 6〉 노인층의 소득원: 국제비교

〈표 16- 7〉 각국의 외국계 국채전문딜러

〈표 16- 8〉 연금규제와 연금 자산의 수익률

〈표 16- 9〉 연금의 해외자산 취득 제한과 실적치: 국제 비교

〈표 17- 1〉 보호형태별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수(2007~2020)

〈표 17- 2〉 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 및 이용실태

〈표 17-3〉 고령친화산업분야별 법제도 정비내용

〈표 17- 4〉 국내강제인증제도

〈표 17- 5〉 EM(우수품질 인증) 인증업체 매출총액

〈표 17- 6〉 노인용품을 이용?구매하지 않는 이유

〈표 17- 7〉 우리나라 국민의 정보 격차지수

〈표 17- 8〉 고령친화제품(서비스) 전시품목

〈표 17- 9〉 오사카 전시회 전시품목

〈표 17-10〉 가정간호 요양기관 현황

〈표 17-11〉 노인용품 수요 추계

〈표 17-12〉 2005년 재가노인복지시설 현황

〈표 17-13〉 2005 노인의료복지시설 현황

〈표 17-14〉 연차별 노인요양시설 확충 계획

〈표 17-15〉 노인요양보호인프라 10개년 확충계획(‘02.10월)

〈표 17-16〉 재가요양서비스 확충안(2010년)

〈표 17-17〉 용구?용품 대여 사용 현황

〈표 17-18〉 미국 메디케어인증 가정간호사업소 수

〈표 17-19〉 직종별 가정간호인력 구성

〈표 17-20〉 주요국의 총 정부 R&D 예산 중 보건부문 투자비중

〈표 17-21〉 주요 3개 부처의 보건의료분야 R&D 지원현황(‘02)

〈표 17-22〉 국제 의료기기 제조업체 현황

〈표 17-23〉 생산액 규모별 업체수?생산액 현황(2003년 12월 기준)

〈표 17-24〉 수도권 및 지방의 R&D 자원 비교, 2001

〈표 17-25〉 고령친화산업 관련 수요자 및 공급자 설문조사 결과

〈표 17-26〉 고령친화산업 분야 지역혁신(RIS) 프로젝트사업

〈표 17-27〉 혁신클러스터 사업 중 고령친화산업 분야

〈표 17-28〉 각국의 연구단계별 비중

〈표 17-29〉 국내 산업클러스터 특성화 사업에 따른 단지별 비전

〈표 17-30〉 고령친화산업의 특성

〈표 17-31〉 고령친화산업의 부문별 정책과제 및 R&D 지원 필요분야

〈표 17-32〉 연구사업 분야별 투자액

〈표 17-33〉 재활기기 관련 R&D 예산(1995-2001)

〈표 17-34〉 의료기기 R&D 지원 현황

〈표 17-35〉 노인용품 산업체 연구인력 배치현황

〈표 17-36〉 국내 재활기기 중 이동기기 관련 연구개발 사업 현황

〈표 17-37〉 선진국 대비 국내 고령친화산업 관련 연구 역량

〈표 17-38〉 정부의 R&D 지원현황에 대한 만족도결과

〈표 17-39〉 정부의 고령친화산업 지원분야 의견(공급자)

〈표 17-40〉 맞춤형 생활환경설계 및 제어기술의 경제적인 기대효과

〈표 17-41〉 미국의 2004년도 R&D 예산

〈표 17-42〉 NIA 예산추이

〈표 17-43〉 일본의 고령사회대책관계 예산(일반회계)

〈표 17-44〉 일본의 복지용구 관련 연구사업 현황

〈표 17-45〉 후생노동성의 노인?장애인 재활관련 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 추이

〈표 17-46〉 한국의 R&D 예산 비교

〈표 17-47〉 국제적 표준화기관

〈표 17-48〉 국제 표준화 관련기구

〈표 17-49〉 국내 표준화 관련기관

〈표 17-50〉 국가표준의 구조 및 운영체계

〈표 17-51〉 복지분야 KS/ISO 규격관리 및 부합화 현황

〈표 17-52〉 주요 고령자 및 장애인 대상 국내 규격

〈표 17-53〉 최근 5년간 표준분야 예산액

〈표 17-54〉 고령자ㆍ장애인 복지표준화 종합계획

〈표 17-55〉 고령자ㆍ장애인 복지표준화 대상

〈표 18- 1〉 기혼여성의 자녀 필요성에 대한 태도 변화(’97~’05)

〈표 18- 2〉 노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변화(’98~’02)

〈표 18- 3〉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상 출산?양육관련 정책에 대한 태도

〈표 18- 4〉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정책들에 대한 태도

〈표 18- 5〉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상 노후생활보장 관련 정책에 대한 태도

〈표 18- 6〉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상 저출산?고령사회의 성장동력 확보관련 정책에 대한 태도

〈표 18- 7〉 저출산?고령화 극복을 위한 기업, 종교계, 여성계, 노동계, 시민사회단체

                  역할의 중요성

〈표 19- 1〉 국민연금사각지대 추정

〈표 19- 2〉 2007~10년간 감면제도 정비를 통한 재원조달 규모 추정


그림목차


〔그림 1- 1〕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실무 추진단 구성도

〔그림 2- 1〕 합계출산율 변동 추이, 1970~2005

〔그림 2- 2〕 출생아수 변동 추이, 1970~2005

〔그림 2- 3〕 출산율 결정 모형

〔그림 2- 4〕 연령별 유배우출산율 변동추이

〔그림 2- 5〕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원인 구조

〔그림 2- 6〕 청년층 실업률 추이

〔그림 2- 7〕 연령집단별 임시일용직 비중의 변화 추이

〔그림 2- 8〕 지니계수 및 소득 5분위배율 추이

〔그림 2- 9〕 인구구조 변동 추이 및 전망

〔그림 2-10〕 인구고령화 변동 추이

〔그림 2-11〕 고령화의 추이와 전망

〔그림 2-12〕 노인의료비 추이

〔그림 2-13〕 치매노인수 추계(2000~2020)

〔그림 2-14〕 노인인구 학력수준 전망

〔그림 2-15〕 취업자수 증가율 전망(합계출산율 1.08 유지 가정)

〔그림 2-16〕 생산가능인구의 평균연령

〔그림 2-17〕 잠재성장률 전망(합계출산율 1.08 유지시, TFP 증가율 1.5% 가정)

〔그림 2-18〕 소득수준별 현존자녀수, 기대자녀수, 이상자녀수

〔그림 3- 1〕 저출산?고령화 추이 및 관련 정책방향 변화

〔그림 3- 2〕 주요 OECD 국가 사회서비스 취업자 비중(2003년, ILO)

〔그림 3- 3〕 프랑스의 저출산?고령화 추이와 관련정책 동향

〔그림 3- 4〕 스웨덴의 합계출산율 및 노인인구비율 변화

〔그림 3- 5〕 일본의 합계출산율 및 노인인구비율 변화

〔그림 4- 1〕 기대자녀수와 합계출산율

〔그림 4- 2〕 합계출산율 가정별 총인구 변동 전망

〔그림 4- 3〕 합계출산율 가정별 생산가능인구(15-64세) 변동 전망

〔그림 4- 4〕 합계출산율 가정별 생산가능인구(15-64세) 평균연령 변동 전망

〔그림 4- 5〕 합계출산율 가정별 노인인구(65세 이상) 비율 변동 전망

〔그림 4- 6〕 합계출산율 가정별 노년부양비(65세 이상 인구/생산가능인구×100) 변동 전망

〔그림 4- 7〕 합계출산율 가정별 취업자수 증가율 변동 전망

〔그림 4- 8〕 합계출산율 가정별 잠재성장률 변동 전망

〔그림 6- 1〕 평균보육료 및 소득대비 부담률 분포, 2004

〔그림 6- 2〕 학원 이용현황

〔그림 6- 3〕 영유아 건강증진사업 추진체계

〔그림 6- 4〕 지역단위 임산부 및 영유아 관리 모형(안)

〔그림 6- 5〕 전산망을 활용한 출생신고 절차 개선방안

〔그림 7- 1〕 우리나라와 2만불 국가 연령별 여성경활율 비교

〔그림 8- 1〕 안전사고의 손상피라미드

〔그림 8- 2〕 우리나라 아동인구 10만명당 안전사고 사망률

〔그림 8- 3〕 미국 비행청소년에 대한 지역사회중심 종합전략 모델

〔그림 10- 1〕 현행제도에 의한 국민연금 재정수지 전망(단위 : 조원)

〔그림 10- 2〕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개혁 목표의 상호 관계

〔그림 10- 3〕 65세 이상 노인의 공적소득보장 수혜자 비율

〔그림 10- 4〕 다층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체계(안)

〔그림 10- 5〕 국민연금 재정위기의 원인

〔그림 10- 6〕 재정안정화 조치에 따른 연금기금의 추이

〔그림 10- 7〕 특수직역연금의 급여지출 대비 보험료수입 비율 장기 추계

〔그림 10- 8〕 고령근로자 비중 증가 추이

〔그림 10- 9〕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 판단기준 완화

〔그림 10-10〕 노인계층의 소득분포 현황

〔그림 10-11〕 퇴직연금 조기 정착을 위한 제도개선

〔그림 11- 1〕 연도별 생존율 변화 추세

〔그림 11- 2〕 65세 이상 노인의료비 추이

〔그림 11- 3〕 2003년도 연령보정 뇌혈관질환사망률(10만명당)의 OECD 국가간 비교

〔그림 11- 4〕 2003년도 연령보정 당뇨사망률(10만명당)의 OECD 국가간 비교

〔그림 11- 5〕 최근 40년간 연령보정 당뇨사망률의 증감 평균 비교

〔그림 11- 6〕 2001년도 결핵사망률(10만명당)의 OECD 국가간 비교

〔그림 11- 7〕 2001년 결핵발생률(10만명당)의 OECD 국가간 비교

〔그림 11- 8〕 세계적 수준에 오른 한국의 치료 기술

〔그림 11- 9〕 평생건강관리의 위험요인 감소와 건강증진

〔그림 11-10〕 예방과 치료의 조화를 통한 건강한 노화 및 활력있는 삶 달성 전략 개념도

〔그림 11-11〕 보건의료의 공익적 지역접근과 사익적 개인접근에 대해 보건소와

                      병의원의 기능분담 개념도

〔그림 11-12〕 만성질병자에 대한 보건기관과 병의원의 기능분담 개념도

〔그림 11-13〕 잔여적 접근의 보건의료관리에서 전주민 대상의 보건의료관리로 전환 개념도

〔그림 11-14〕 방문간호서비스 제공과정

〔그림 11-15〕 안양시 동안구 노인보건센터와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체계

〔그림 11-16〕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프로그램 도해

〔그림 11-17〕 생애주기별 평생건강관리체계 체계도

〔그림 11-18〕 보건소 시스템의 예방위주 기능 전환 개념도

〔그림 11-19〕 건강과 신체활동의 종류 및 양과의 관계

〔그림 11-20〕 최근 5년간 건강보험급여 중에서 치매 환자수와 진료비의 비중

〔그림 11-21〕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생활체육참여율 비교 - 성인과 청소년 구분

〔그림 12- 1〕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을 위해 중요한 것

〔그림 12- 2〕 노후의 풍요로운 생활을 위해 선호하는 거주 공간

〔그림 12- 3〕 1980-2000년 가구주 연령대변화와 자가거주가구수

〔그림 12- 4〕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수 비율 추세

〔그림 12- 5〕 OECD 주요국 노인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2003년)

〔그림 12- 6〕 노인일자리사업 추진체계

〔그림 12- 7〕 노인의 여가생활

〔그림 14- 1〕 경제활동참가율 가상 시나리오에 따른 부양비 예측

〔그림 14- 2〕 경제활동참가율 가상 시나리오에 따른 노인부양비 예측

〔그림 14- 3〕 연령대별 여성경제활동참가율

〔그림 14- 4〕 1인당 GDP와 여성고용율의 관련성

〔그림 14- 5〕 GDP와 여성경제활동참가율

〔그림 14- 6〕 사회서비스 고용비중과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의 관계

〔그림 14- 7〕 연령에 따른 임금 및 생산성곡선(예시)

〔그림 14- 8〕 OECD 국가의 연령별 근로자직업훈련 빈도

〔그림 14- 9〕 55세이상 근로자 산업재해발생 추이

〔그림 14-10〕 연령대별 기능적 장애출현율

〔그림 15- 1〕 전공 관련성과 직무 유용성

〔그림 15- 2〕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 비교

〔그림 15- 3〕 기업 규모별 교육훈련 투자 비용 추이

〔그림 15- 4〕 주요국 교육예산 대비 평생교육 예산 비중

〔그림 15- 5〕 평생학습 참여 장애요인

〔그림 16- 1〕 투자 주체별 국채 보유 추이

〔그림 16- 2〕 칠레의 연금에 대한 투자 제한과 연금 수익?외 투자 비중 추이

〔그림 17- 1〕 물류표준설비 인증체계

〔그림 17- 2〕 고령친화용품 5대 분야 개념도

〔그림 17- 3〕 고령친화산업 SWOT 분석

〔그림 17- 4〕 성장성이 있는 분야(공급자)

〔그림 17- 5〕 NIH. 실버산업 추진전략

〔그림 17- 6〕 고령친화산업 표준화 추진체계

〔그림 18- 1〕 사회 각 부문의 책임과 역할

〔그림 18- 2〕 저출산?고령사회 성과관리 체계

〔그림 18- 3〕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의 BSC 적용(예)


부표목차


〔부록 1〕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실무 추진단 구성

〔부록 2〕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관련 국민의식조사 조사표(양식)

〔부록 3〕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관련 국민의식 결과

〔부록 4〕 2003년 기금존치 평가보고서상 폐지 및 통합대상 내역

〔부록 5〕 기금의 연도별 정부출연금, 자산, 조성규모현황

〔부록 1〕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실무 추진단 구성

〔부록 2〕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관련 국민의식조사 조사표(양식)

〔부록 3〕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관련 국민의식 결과

〈부표 3- 1〉 일반 특성별 보육?교육비 지원에 대한 태도

〈부표 3- 2〉 일반 특성별 방과후 학교 확대 등 사교육비 부담 경감에 대한 태도

〈부표 3- 3〉 일반 특성별 다자녀가정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에 대한 태도

〈대한 태도

〈부표 3- 5〉 일반 특성별 보육서비스 다양화에 대한 태도

〈부표 3- 6〉 일반 특성별 모성 및 영유아 건강관리서비스 강화, 불임부부에 대한

                    의료비 지원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 7〉 일반 특성별 육아휴직제도 활성화, 근무시간 선택, 재택근무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 8〉 일반 특성별 자녀양육후 노동시장 복귀 지원에 대한 태도

〈부표 3- 9〉 일반 특성별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개선에 대한 태도

〈부표 3-10〉 일반 특성별 남녀가 평등한 사회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학교교육의 강화

                    가족문화 조성을 위한 각종 시책에 대한 태도

〈부표 3-11〉 일반 특성별 아동과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제도 개선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12〉 일반 특성별 자녀를 둔 가정에게 아동수당 지급에 대한 필요성

〈부표 3-13〉 일반 특성별 민간보육시설 서비스 질적 개선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

                    지원의 필요성

〈부표 3-14〉 국민연금제도 개선에 대한 태도

〈부표 3-15〉 일반특성별 경로연금 확대에 대한 태도

〈부표 3-16〉 일반특성별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사적 노후대비 활성화에 대한 태도

〈부표 3-17〉 일반 특성별 노후 의료보장 확충에 대한 태도

〈부표 3-18〉 일반 특성별 노인요양보호, 치매예방 및 보호대책 확충에 대한 태도

〈부표 3-19〉 일반 특성별 주거환경이나 도로교통 환경을 고령자에게 편리하게

                    개선시키는 대책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20〉 일반 특성별 노인 일자리 및 여가문화장소를 확대하고, 경로문화와

                    노인권익을 증진시키는 대책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21〉 일반 특성별 여성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취업을 지원하는 시책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22〉 일반특성별 중고령자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각종 제도개선 및

                    취업지원 시책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23〉 일반특성별 해외동포와 외국인들이 국내에서 행복하게 일하고

                    생활할 수 있는 사회문화 환경개선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24〉 일반특성별 노인의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 직업훈련 및 산재예방대책의

                     강화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25〉 일반특성별 노인들이 자신의 노후를 위하여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기반 조성 등에 대한 정책 태도

〈부표 3-26〉 일반 특성별 고령사회에 적합한 산업의 육성시책 등에 대한 태도

〈부표 3-27〉 일반 특성별 저출산?고령화 극복을 위한 기업, 종교계, 여성계, 노동계,

                    시민사회단체 역할의 중요성 인식 정도

〔부록 4〕 2003년 기금존치 평가보고서상 폐지 및 통합대상 내역

〔부록 5〕 기금의 연도별 정부출연금, 자산, 조성규모현황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