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정보

현황

2005년 가족실태조사보고서

  • 작성일2008-07-23 10:41
  • 조회수2,937
  • 담당자 관리자
  • 담당부서통계담당관

2005년 가족실태조사보고서

  • 공표일시 : 2005.12월
  • 생산주기 : 5년 (다음 조사 : 2010년)
  • 조사근거
    • 건강가정기본법 제20조(가족실태조사)
    • 통계법 제8조(정부승인통계 제15401호)
  • 조사대상
    • 전국일반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 전체
    • 표본크기 : 2,925가구(가구원 5,973명)
  • 조사방법 : 일대일 방문 면접조사
  • 조사기간 : 2005.10.26˜12.9
  • 수록통계표 및 그림 목차

제1부

  • <표 Ⅰ-1> 연구의 내용 7
  • <표 Ⅱ-1> 총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의 추이 13
  • <표 Ⅱ-2> 15-49세 가임여성 변화 추이 14
  • <표 Ⅱ-3>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추이 15
  • <표 Ⅱ-4> 상대층별 비중 추이 16
  • <표 Ⅱ-5> 고용형태별 근로자 비중의 추이 16
  • <표 Ⅱ-6> 교육비 지출 추이(2000-2004) 17
  • <표 Ⅱ-7> 교육비 부담에 대한 인식 및 부담요인 18
  • <표 Ⅱ-8> 가임여성(15-49세)의 미혼율 변동 추이 21
  • <표 Ⅱ-9> 혼인건수 및 이혼건수의 변화추이 22
  • <표 Ⅱ-10> 혼인의 초·재혼 구조의 변화 22
  • <표 Ⅱ-11> 자녀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23
  • <표 Ⅱ-12> 혼인상태별 한부모가구의 비율 24
  • <표 Ⅱ-13> 65세 이상 단독노인가구의 구성 추이 25
  • <표 Ⅱ-14> 부부의 가사·자녀양육 시간(평일 기준), 2005 26
  • <표 Ⅲ-1> 조사주제와 세부항목 및 지표 41
  • <표 Ⅳ-1> 시도별 인구주택총조사와 신축아파트 가구수별 표본 조사구 할당 결과 64
  • <표 Ⅳ-2> 시도별 주택유형별·거주지역별 표본할당 결과 65

제2부

  • <표 Ⅰ-1> 응답 가구의 지역별 분포 81
  • <표 Ⅰ-2> 응답 가구의 가족형태 분포 83
  • <표 Ⅰ-3> 응답 가구의 가구원 수 85
  • <표 Ⅰ-4> 가구대표(주 응답자)의 성별·연령별 특성 86
  • <표 Ⅰ-5> 가구대표(주 응답자)의 교육정도별·혼인상태별 특성 86
  • <표 Ⅰ-6> 응답 가구원의 인구학적 특성 87
  • <표 Ⅰ-7> 응답대상 가구원의 경제적 특징 88
  • <표 Ⅱ-1>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 분포 95
  • <표 Ⅱ-2> 현재 배우자와의 혼인관계 96
  • <표 Ⅱ-3> 현재 배우자와의 초·재혼 여부 97
  • <표 Ⅱ-4> 이상적 자녀 수 98
  • <표 Ⅱ-5> 성별 이상적 자녀 수 100
  • <표 Ⅱ-6> 출산 경험 100
  • <표 Ⅱ-7> 성별 자녀분포 101
  • <표 Ⅱ-8> 향후 자녀 출산계획여부 101
  • <표 Ⅱ-9> 향후 출산계획 자녀수 102
  • <표 Ⅱ-10> 출산계획이 없는 가장 큰 이유 103
  • <표 Ⅱ-11> 출산 지원 여건이 마련된다면 향후 추가 출산계획 여부 103
  • <표 Ⅱ-12> 출산지원여건 하에 출산계획 자녀수 104
  • <표 Ⅲ-1> 거주 형태별 주택 형태 117
  • <표 Ⅲ-2> 거주 형태별 주택 규모(주거용 전용면적) 118
  • <표 Ⅲ-3> 가족 형태별 거주 형태 119
  • <표 Ⅲ-4> 가족 형태별 주택 형태 119
  • <표 Ⅲ-5> 거주지 선택 이유(주거용 전용면적) 120
  • <표 Ⅲ-6> 세대 구성 형태별 거주지 선택 이유 121
  • <표 Ⅲ-7> 주택 형태별 거주지 선택 이유 123
  • <표 Ⅲ-8> 거주 형태별 거주지 선택 이유 124
  • <표 Ⅲ-9> 거주 규모별 거주지 선택 이유 125
  • <표 Ⅲ-10> 가족 형태별 거주지 선택 이유 126
  • <표 Ⅲ-11> 소득 구성별 소득 종류 128
  • <표 Ⅲ-12> 월평균 가구소득과 생활비 129
  • <표 Ⅲ-13> 월평균 가구소득별 거주지 선택 이유 131
  • <표 Ⅲ-14> 월평균 가구소득별 주거용 전용면적 132
  • <표 Ⅲ-15> 생활비 지출 실태 133
  • <표 Ⅲ-16> 월평균 소득별 생활비 지출 실태 134
  • <표 Ⅲ-17> 월평균 소득별 자동차 소유 현황 136
  • <표 Ⅲ-18> 월평균 소득별 자동차 소유 대수 137
  • <표 Ⅲ-19> 가구원 특성별 노후 준비 여부 139
  • <표 Ⅲ-20> 성별과 취업상태에 따른 노후 준비 가구원수와 비율 140
  • <표 Ⅲ-21> 가구원들의 노후 준비 종류(기혼자) 143
  • <표 Ⅳ-1> 전체 응답자의 혼인상태별 분포 157
  • <표 Ⅳ-2> 부부관계 분석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59
  • <표 Ⅳ-3> 부부의사결정권: 자녀교육관련 162
  • <표 Ⅳ-3-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의사결정권: 자녀교육관련 163
  • <표 Ⅳ-4> 부부의사결정권: 주택구입 문제 164
  • <표 Ⅳ-4-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의사결정권: 주택구입 문제 165
  • <표 Ⅳ-5> 부부의사결정권: 투자 및 재산관리 문제 166
  • <표 Ⅳ-5-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의사결정권: 투자 및 재산관리 167
  • <표 Ⅳ-6> 부부의사결정권: 생활비 지출 168
  • <표 Ⅳ-6-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 의사결정권: 생활비 지출 169
  • <표 Ⅳ-7> 부부의사결정권: 배우자의 취업이나 직장이동 170
  • <표 Ⅳ-7-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의사결정권: 배우자 취업·직장이동 171
  • <표 Ⅳ-8> 가정 내 가사분담 실태와 태도 178
  • <표 Ⅳ-9> 가사노동의 참여여부와 참여 회수 180
  • <표 Ⅳ-10> 연령별 가사노동의 평균 참여 회수(일주일 기준) 182
  • <표 Ⅳ-11> 학력별 가사노동의 평균 참여 회수(일주일 기준) 183
  • <표 Ⅳ-12> 개인 소득수준별 가사노동의 평균 참여 회수(일주일 기준) 184
  • <표 Ⅳ-13> 가구세대구성별 가사노동의 평균 참여 회수(일주일 기준) 186
  • <표 Ⅳ-14> 가구소득유형별 가사노동의 평균 참여 회수(일주일 기준) 187
  • <표 Ⅳ-15> 가구소득수준별 가사노동의 평균 참여회수(일주일 기준) 189
  • <표 Ⅳ-16>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밥 먹는 것 도와주기 190
  • <표 Ⅳ-16-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밥 먹는 것 도와주기 191
  • <표 Ⅳ-17>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옷 입는 것 도와주기 192
  • <표 Ⅳ-17-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옷 입는 것 도와주기  193
  • <표 Ⅳ-18>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아플 때 돌봐주기·병원 데려가기 194
  • <표 Ⅳ-18-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아플 때 돌봐주기·병원 데려가기 195
  • <표 Ⅳ-19> 자녀양육을 위한 부부역할분담 정도: 숙제나 공부 돌봐주기 196
  • <표 Ⅳ-19-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숙제나 공부 돌봐주기 197
  • <표 Ⅳ-20>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함께 놀아주기 198
  • <표 Ⅳ-20-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함께 놀아주기 199
  • <표 Ⅳ-21>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놀이방 데려다주기·데려오기 200
  • <표 Ⅳ-21-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놀이방 데려다주기·데려오기 201
  • <표 Ⅳ-22>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목욕시키기 202
  • <표 Ⅳ-22-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목욕시키기 203
  • <표 Ⅳ-23>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교육(보육)시설 알아보기 204
  • <표 Ⅳ-23-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교육(보육)시설 알아보기 205
  • <표 Ⅳ-24>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 정도: 학교준비물 챙기기 206
  • <표 Ⅳ-24-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 정도: 학교준비물 챙기기 207
  • <표 Ⅳ-25> 자녀양육의 부부역할분담의 공평성 213
  • <표 Ⅳ-25-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역할분담의 공평성 213
  • <표 Ⅳ-26> 배우자와의 하루평균 대화시간 215
  • <표 Ⅳ-26-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배우자와의 하루평균 대화시간 216
  • <표 Ⅳ-27> 배우자와의 대화시간에 대한 만족도 217
  • <표 Ⅳ-28> 부부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219
  • <표 Ⅳ-29> 부부관계에 대한 항목별 만족도 221
  • <표 Ⅳ-29-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관계의 항목별 만족도 222
  • <표 Ⅳ-30> 가구특성별 부부관계에 대한 항목별 만족도 224
  • <표 Ⅳ-31> 항목별 부부갈등의 경험정도 227
  • <표 Ⅳ-32>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갈등 경험정도 228
  • <표 Ⅳ-33> 부부간 심각한 갈등의 경험여부 233
  • <표 Ⅳ-34-1> 연령별 부부간 심각한 갈등의 경험여부 234
  • <표 Ⅳ-34-2> 교육수준별 부부간 심각한 갈등의 경험여부 234
  • <표 Ⅳ-34-3> 소득수준별 심각한 부부갈등의 경험여부 235
  • <표 Ⅳ-35-1> 세대구성별 부부간 심각한 갈등의 경험여부 235
  • <표 Ⅳ-35-2> 취업형태별 심각한 부부갈등의 경험율 236
  • <표 Ⅳ-35-3> 가구소득별 부부간 심각한 갈등의 경험여부 236
  • <표 Ⅳ-35> 부부간 심각한 갈등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지속하는 이유 237
  • <표 Ⅳ-36> 지난 한달 이내의 부부싸움의 빈도 238
  • <표 Ⅳ-37> 폭력발생 유무 238
  • <표 Ⅴ-1> 부·모와 청소년자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247
  • <표 Ⅴ-2> 자녀 양육 시 느끼는 어려움 249
  • <표 Ⅴ-3> 자녀와 함께 살기를 희망하는 시간적 범위 250
  • <표 Ⅴ-4> 자녀에 대한 경제적 책임의 시간적 범위 251
  • <표 Ⅴ-5> 부모님과의 동거 여부 253
  • <표 Ⅴ-6> 부모님과 함께 살기를 희망하는 시기 254
  • <표 Ⅴ-7> 부모의 관점에서 본 자녀와의 항목별 의사소통 정도 256
  • <표 Ⅴ-8> 자녀의 관점에서 본 부모와의 의사소통만족도 259
  • <표 Ⅴ-9> 최근 고민의 유무 262
  • <표 Ⅴ-10> 주된 고민의 내용(1순위) 263
  • <표 Ⅴ-11> 고민 상담의 주된 상대 263
  • <표 Ⅴ-12> 개인적 특성별 고민 상담의 주된 상대 264
  • <표 Ⅴ-13> 부모님과 지난 한 달 동안 함께 한 일과 한달 평균회수 266
  • <표 Ⅴ-14-1> 아버지와 지난 한 달 동안 함께 한 일과 한달 평균수 267
  • <표 Ⅴ-14-2> 어머니와 지난 한 달 동안 함께 한 일과 한달 평균회수??(N=892가구) 278
  • <표 Ⅵ-2> 가구당 자녀수 279
  • <표 Ⅵ-3> 아동 연령별 이용시설 282
  • <표 Ⅵ-4> 가구소득별 이용시설 284
  • <표 Ⅵ-5> 부부취업 상태별 이용시설 285
  • <표 Ⅵ-6> 아동연령 및 가구소득별 이용시설 286
  • <표 Ⅵ-7> 아동연령별 및 부부취업 상태별 이용시설 287
  • <표 Ⅵ-8> 아동연령별 시설 이용시간 288
  • <표 Ⅵ-9> 가구소득 수준별 시설 이용시간 289
  • <표 Ⅵ-10> 부부의 취업상태별 시설 이용시간 290
  • <표 Ⅵ-11> 아동연령 및 가구소득별 시설 이용시간 291
  • <표 Ⅵ-12> 아동연령 및 부부취업 상태별 이용시간 293
  • <표 Ⅵ-13> 아동연령별 시설이용 월평균비용 294
  • <표 Ⅵ-14> 가구소득별 월평균 비용(영유아) 295
  • <표 Ⅵ-15> 가구소득별 월평균 비용(초등학생) 296
  • <표 Ⅵ-16> 부부 취업상태별 시설이용 비용 297
  • <표 Ⅵ-17> 돌봄시설 이용시간과 비용 297
  • <표 Ⅵ-18> 아동연령 및 가구소득별 시설이용 비용 299
  • <표 Ⅵ-19> 아동연령 및 부부취업 상태별 시설이용 비용 300
  • <표 Ⅵ-20> 아동연령별 주돌봄자 303
  • <표 Ⅵ-21> 가구소득별 주돌봄자 304
  • <표 Ⅵ-22> 부부취업 상태별 주돌봄자 305
  • <표 Ⅵ-23> 아동연령 및 가구소득별 주돌봄자 306
  • <표 Ⅵ-24> 아동연령 및 부부취업 상태별 주돌봄자 308
  • <표 Ⅵ-25> 아동연령별 주당 평균 돌봄시간 309
  • <표 Ⅵ-26> 가구소득별 주당 평균 돌봄시간 309
  • <표 Ⅵ-27> 부부취업 상태별 주당 평균 돌봄시간 310
  • <표 Ⅵ-28> 아동연령 및 가구소득별 돌봄시간 311
  • <표 Ⅵ-29> 아동연령 및 부부취업 상태별 돌봄시간 312
  • <표 Ⅵ-30> 아동연령별 월평균 비용 313
  • <표 Ⅵ-31> 가구소득별 월평균 비용 314
  • <표 Ⅵ-32> 부부취업 상태별 월평균 비용 315
  • <표 Ⅵ-33> 아동연령 및 가구소득별 돌봄 비용 316
  • <표 Ⅵ-34> 아동연령 및 부부취업 상태별 돌봄 비용 317
  • <표 Ⅶ-1> 가족내 돌봄이 필요한 노인 유무 327
  • <표 Ⅶ-2>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특성 329
  • <표 Ⅶ-3> 미혼 응답자의 노인과의 관계 329
  • <표 Ⅶ-4> 기혼 응답자의 노인과의 관계 331
  • <표 Ⅶ-5> 돌봄이 필요한 노인을 주로 돌보는 사람 332
  • <표 Ⅶ-6> 노인 돌봄 비용 부담자 334
  • <표 Ⅶ-7> 노인 돌봄으로 인한 가족생활의 변화 335
  • <표 Ⅶ-8> 가족 내 돌봄이 필요한 환자 유무 336
  • <표 Ⅶ-9> 돌봄이 필요한 가족원의 특성 337
  • <표 Ⅶ-10> 돌봄이 필요한 가족원을 주로 돌보는 사람 338
  • <표 Ⅶ-11> 돌봄이 필요한 가족원 돌봄으로 인한 가족생활의 변화 339
  • <표 Ⅷ-1> 가구원의 가사참여 여부 347
  • <표 Ⅷ-2> 가구원 성별 가사참여여부 348
  • <표 Ⅷ-3> 가구원 혼인상태별 가사참여여부 349
  • <표 Ⅷ-4> 가구원 연령별 가사참여여부 351
  • <표 Ⅷ-5> 미혼 가구원의 성별 가사참여여부 352
  • <표 Ⅷ-6> 기혼 가구원의 성별 가사참여여부 353
  • <표 Ⅷ-7> 가구원 연령 및 혼인상태별 가사참여여부 355
  • <표 Ⅷ-8> 가구원의 1주당 가사일 참여횟수 357
  • <표 Ⅷ-9> 가구원의 성·혼인상태·연령별 1주당 가사일 참여횟수 358
  • <표 Ⅷ-10> 가구원의 1주당 가사일 소요시간 360
  • <표 Ⅷ-11> 가구원의 성·혼인상태·연령별 1주당 가사일 소요시간 362
  • <표 Ⅷ-12> 가구원의 성 및 혼인상태별 주당 가사일 참여횟수 364
  • <표 Ⅷ-13> 가구원의 성 및 혼인상태별 주당 가사일 참여 소요시간 366
  • <표 Ⅸ-1> 가족과 함께 저녁 식사하는 횟수 377
  • <표 Ⅸ-2> 성별·연령대별 평일 저녁 시간활용 380
  • <표 Ⅸ-3> 주말 가족여가 활동 381
  • <표 Ⅸ-4> 노인부부의 평일저녁 시간 활용내용 387
  • <표 Ⅸ-5> 노인부부의 주말 가족여가 내용 387
  • <표 Ⅸ-6> 노인들이 가족과 함께 여가시간을 갖기 어려운 이유 388
  • <표 Ⅸ-7> 10대 청소년이 가족과 함께 여가시간을 갖기 어려운 이유 390
  • <표 Ⅸ-8> 연령대별 가족간 저녁식사를 함께하는 비중 391
  • <표 Ⅸ-9> 10대 청소년 평일 저녁시간 활용 391
  • <표 Ⅸ-10> 연령대별 평일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392
  • <표 Ⅹ-1> 가족이란 용어에 대한 생각 401
  • <표 Ⅹ-2> ‘우리가족’으로 포함되는 사람들 402
  • <표 Ⅹ-3> 부모 부양의 책임이 가장 큰 사람 403
  • <표 Ⅹ-4>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모시는 가장 좋은 방법 404
  • <표 Ⅹ-5> 성인자녀의 역할로 가장 중요한 항목 405
  • <표 Ⅹ-6> 자녀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큰 즐거움이다: 성별 406
  • <표 Ⅹ-7> 자녀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br /><표 Ⅹ-8> 자녀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큰 즐거움이다: 혼인상태별 408
  • <표 Ⅹ-9> 노후를 위해서 자식이 필요하다: 성별 409
  • <표 Ⅹ-10> 노후를 위해서 자식이 필요하다: 연령별 409
  • <표 Ⅹ-11> 성인이라면 결혼해서 자식을 낳는 것이 인생의 주요 과업이다: 성별 411
  • <표 Ⅹ-12> 성인이라면 결혼해서 자식을 낳는 것이 인생의 주요 과업이다: 연령별 412
  • <표 Ⅹ-13> 자식의 성공은 나의 성공과 같다: 성별 413
  • <표 Ⅹ-14> 자식의 성공은 나의 성공과 같다: 연령별 414
  • <표 Ⅹ-15> 개인적인 관심보다 가족의 관심을 더욱 중요시해야 한다: 성별 415
  • <표 Ⅹ-16> 개인적인 관심보다 가족의 관심을 더욱 중요시해야 한다: 연령별 416
  • <표 Ⅹ-17> 부부관계보다는 부모자녀관계가 우선되어야 한다: 성별 418
  • <표 Ⅹ-18> 부부관계보다는 부모자녀관계가 우선되어야 한다: 연령별 419
  • <표 Ⅹ-19> 어려운 일에는 이웃이나 친구보다 친척이 더 큰 힘이 된다: 성별 421
  • <표 Ⅹ-20> 어려운 일에는 이웃이나 친구보다 친척이 더 큰 힘이 된다: 연령별 422
  • <표 Ⅹ-21> 사회보다 내 가족의 안녕이 우선되어야 한다: 성별 423
  • <표 Ⅹ-22> 사회보다 내 가족의 안녕이 우선되어야 한다 : 연령별 424
  • <표 Ⅹ-23>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사는 것도 괜찮다 : 성별 425
  • <표 Ⅹ-24>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사는 것도 괜찮다: 연령별 426
  • <표 Ⅹ-25> 부부사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 이혼하는 것이 좋다: 성별 428
  • <표 Ⅹ-26> 부부사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 이혼하는 것이 좋다: 연령별 429
  • <표 Ⅹ-27> 이혼 후 혼자사는 것보다는 재혼하는 것이 낫다: 성별 430
  • <표 Ⅹ-28> 이혼 후 혼자사는 것보다는 재혼하는 것이 낫다: 연령별 431
  • <표 Ⅹ-29> 결혼하더라도 반드시 아이를 가질 필요는 없다: 성별 432
  • <표 Ⅹ-30> 결혼하더라도 반드시 아이를 가질 필요는 없다 : 연령별 433
  • <표 Ⅹ-31> 한부모 가족도 양부모와 동일하게 자녀를 잘 키울 수 있다: 성별 434
  • <표 Ⅹ-32> 한부모 가족도 양부모와 동일하게 자녀를 잘 키울 수 있다: 연령별 435
  • <표 Ⅹ-33> 남자가 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여자가 할 일은 가정을 돌보는 것이다: 성별 436
  • <표 Ⅹ-34> 남자가 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여자가 할 일은 가정을 돌보는 것이다: 연령별 437
  • <표 Ⅹ-35> 오늘날에는 여성도 남성과 똑같이 가족부양의 책임이 있다: 성별 439
  • <표 Ⅹ-36> 오늘날에는 여성도 남성과 똑같이 가족부양의 책임이 있다: 연령별 439
  • <표 Ⅹ-37> 집안의 큰일은 남자가 결정하는 것이 당연하다: 성별 441
  • <표 Ⅹ-38> 집안의 큰일은 남자가 결정하는 것이 당연하다:연령별 442
  • <표 Ⅹ-39> 부부간 가족가치 일치도 분석 대상 부부의 특성 444
  • <표 Ⅹ-40> 자녀와의 관계 및 자녀의 의미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 (방법1) 446
  • <표 Ⅹ-41> 개인·부부·가족·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1) 448
  • <표 Ⅹ-42> 결혼·동거·이혼·재혼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1) 450
  • <표 Ⅹ-43> 성역할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 (방법1) 452
  • <표 Ⅹ-44> 유교적 가치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 (방법1) 454
  • <표 Ⅹ-45> 자녀와의 관계 및 자녀의 의미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2) 457
  • <표 Ⅹ-46> 개인·부부·가족·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2) 458
  • <표 Ⅹ-47> 결혼·동거·이혼·재혼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2) 459
  • <표 Ⅹ-48> 성역할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2) 460
  • <표 Ⅹ-49> 유교적 가치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2) 461
  • <표 Ⅹ-50> 자녀와의 관계 및 자녀의 의미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3) 464
  • <표 Ⅹ-51> 개인·부부·가족·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3) 465
  • <표 Ⅹ-52> 결혼·동거·이혼·재혼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3) 466
  • <표 Ⅹ-53> 성역할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3) 467
  • <표 Ⅹ-54> 유교적 가치에 관한 부부의 태도 일치도(방법3) 468
  • <표 Ⅹ-55> 자녀와의 관계 및 자녀의 의미에 관한 부부의 태도 유형 469
  • <표 Ⅹ-56> 개인·부부·가족·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부부의 태도 유형 470
  • <표 Ⅹ-57> 결혼·동거·이혼·재혼에 관한 부부의 태도 유형 471
  • <표 Ⅹ-58> 성역할에 관한 부부의 태도 유형 472
  • <표 Ⅹ-59> 유교적 가치에 관한 부부의 태도 유형 473
  • <표 Ⅺ-1>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479
  • <표 Ⅺ-2> 성·교육수준별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중복응답) 482
  • <표 Ⅺ-3> 아내의 출산시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 필요여부 483
  • <표 Ⅺ-4> 배우자출산휴가의 적정기간 483
  • <표 Ⅺ-5> 남성(아버지) 육아휴가 제도 도입 필요여부 484
  • <표 Ⅺ-6> 남성(아버지) 육아휴가의 적정 기간 485
  • <표 Ⅺ-7> 직장과 가정생활 병행 지원 제도 486
  • <표 Ⅺ-8> 성·연령·교육수준별 직장과 가정생활 병행 지원제도(중복응답) 487
  • <표 Ⅺ-9> 가족의 노인 부양 지원 정책 및 서비스 489
  • <표 Ⅺ-10> 성·연령·교육수준별 가족의 노인 부양 지원 정책 및 서비스(중복응답) 490
  • <표 Ⅺ-11> 건강가정지원센터 인지도 및 이용경험여부 492
  • <표 Ⅺ-12>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및 서비스 욕구 493
  • <표 Ⅺ-13> 가족 중심적 생활환경조성에 필요한 내용 494
  • <표 Ⅺ-14> 가족갈등 문제로 상담 경험 여부 495
  • <표 Ⅺ-15> 가족갈등 문제로 상담경험자의 이용 기관(복수응답) 495
  • <표 Ⅺ-16> 상담을 받지 않는 이유(중복응답) 496
  • <표 Ⅺ-17> 원하는 상담 형태(중복응답) 496
  • <표 Ⅺ-18> 이혼 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부모의 양육비 부담에 대한 태도 497
  • <표 Ⅺ-19> 성·연령·교육수준별 이혼 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부모의 양육비 부담에 대한 태도 498
  • <표 Ⅺ-20> 이혼 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배우자에 대한 양육비 법적 강제청구제도에 대한 태도 499
  • <표 Ⅺ-21> 성·연령·교육수준별 이혼 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배우자에 대한 양육비 법적 강제청구제도에 대한 태도 499
  • <표 Ⅺ-22> 국제결혼가족을 위해 필요한 정책 500
  • <표 Ⅺ-23> 한부모 가족을 위해 필요한 정책 501

그림 목차

제1부

  • [그림 Ⅰ-1] 연구수행체계 9
  • [그림 Ⅱ-1]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이혼비율의 증가(1990-2004) 18
  • [그림 Ⅱ-2] 남편의 소득분위별 기혼여성소득 상대비(2004) 19
  • [그림 Ⅱ-3]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 추이 21
  • [그림 Ⅳ-1] 실사진행 절차 69
  • [그림 Ⅳ-2] 자료처리 절차 72

제2부

  • [그림 Ⅰ-1] 응답 가구의 가족형태별 분포 82
  • [그림 Ⅰ-2] 응답 가구의 세대별 구성분포 84
  • [그림 Ⅱ-1] 혼인상태별 소득분포 95
  • [그림 Ⅱ-2] 연령별 이상 자녀수 99
  • [그림 Ⅲ-1] 한국의 지니계수 추이 110
  • [그림 Ⅲ-2] 조사가구의 거주 형태 116
  • [그림 Ⅲ-3] 가구소득 종류 127
  • [그림 Ⅲ-4] 월평균 소득과 생활비 차이 130
  • [그림 Ⅲ-5] 가구별 자동차 소유현황 135
  • [그림 Ⅲ-6] 가구원의 노후 준비 여부 138
  • [그림 Ⅲ-7] 가구원의 노후 준비 종류 142
  • [그림 Ⅳ-1] 세대별 부부 의사결정방식 173
  • [그림 Ⅳ-2] 취업유형별 부부권위관계  174
  • [그림 Ⅳ-3] 가구소득수준별 의사결정방식 175
  • [그림 Ⅳ-4] 의사결정영역별 남편-아내의 응답일치정도 176
  • [그림 Ⅳ-5] 가구의 세대구성별 자녀돌봄의 부부간 역할분담 형태 209
  • [그림 Ⅳ-6] 부부취업형태별 자녀 돌봄의 부부간 역할분담 형태 210
  • [그림 Ⅳ-7] 역할분담에 관한 남편과 아내의 응답 일치도 211
  • [그림 Ⅳ-8-1] 연령별 대화시간 만족도 217
  • [그림 Ⅳ-8-2] 교육수준별 대화시간 만족도 218
  • [그림 Ⅳ-9] 연령별 부부관계의 전반적인 만족도 220
  • [그림 Ⅳ-10-1] 세대구성별 부부갈등의 경험정도 230
  • [그림 Ⅳ-10-2] 부부의 취업형태별 부부갈등의 경험정도 231
  • [그림 Ⅳ-10-3] 가구소득수준별 부부갈등의 경험정도 232
  • [그림 Ⅴ-1]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와의 의사소통정도 257
  • [그림 Ⅴ-2] 부모연령에 따른 자녀와의 의사소통정도 258
  • [그림 Ⅴ-3] 자녀성별에 따른 부·모와의 의사소통 충분정도 260
  • [그림 Ⅴ-4] 자녀의 학력의 차이에 의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충분정도 261
  • [그림 Ⅴ-5] 부·모·자녀의 관점에서 본 부모-자녀와의 의사소통정도 265
  • [그림 Ⅵ-1] 가구당 자녀수 279
  • [그림 Ⅵ-2] 아동 연령별 이용시설 282
  • [그림 Ⅵ-3] 시설이용시 비용과 이용시간 298
  • [그림 Ⅵ-4] 부부취업 상태별 주돌봄자 305
  • [그림 Ⅸ-1] 평일 저녁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375
  • [그림 Ⅸ-2] 평일 저녁시간 활용(남성) 378
  • [그림 Ⅸ-3] 평일 저녁시간 활용(여성) 379
  • [그림 Ⅸ-4] 연령대별 선호하는 여가활동 382
  • [그림 Ⅸ-5] 성별 가족여가 참여 장애요인 384
  • [그림 Ⅸ-6] 가족형태별 여가활동 내용 386
  • [그림 Ⅸ-7] 10대 청소년의 가족단위 여가활동별 참여빈도 389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