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일반

K-바이오·백신 2호 펀드(프리미어파트너스) 1566억 원 규모 결성 완료

  • 작성일2024-06-18 18:10
  • 조회수370
  • 담당자위윤화
  • 담당부서보건산업진흥과

K-바이오·백신 2호 펀드(프리미어파트너스) 1566억 원 규모 결성 완료


- 정부 등 공동 출자 600억 원, 민간 출자 966억 원 확보, 결성목표액(1500억 원) 초과 달성 -

- 바이오펀드(1·2호) 총 3066억 원 결성 완료, 3·4·5호 연내 조성 추진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6월 14일(금)자로 K-바이오·백신 2호 펀드(주관 운용사 프리미어 파트너스)가 정부 및 국책은행 600억* 원과 민간 966억 원 출자를 통해 최종 1566억 원 규모로 결성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 정부 350억 원, 한국산업은행 175억 원, 한국중소기업은행 75억 원

 동 펀드는 작년 12월 15일 1146억 원 규모로 우선 결성*하여 조기 투자를 시작하였으며, 이후 추가 조성을 통해 당초 목표액 1500억 원을 초과 달성하였다.

* 최소 결성액(70%) 이상으로 투자금이 조성되면 투자를 조기 개시하는 절차

2호 펀드의 성공적 결성으로 작년 11월 8일 1500억 원 규모(정부·국책은행 600억 원, 민간 900억 원 출자)로 결성한 1호 펀드(주관 운용사 유안타 인베스트먼트)와 합산하면 총 3066억 원이 결성되었다.

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를 위해 결성된 상기 펀드는 혁신 신약 임상 2~3상과 혁신 제약 기술 플랫폼,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M&A 등 혁신 제약·바이오헬스 기업에 주로 투자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3월 24일,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에서 K-바이오 메가펀드를 1조 원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3호 펀드 또한 조성 진행 중이다. 올해 2월 13일(월) ‘LSK 인베스트먼트(대표 김명기)’를 운용사로 선정하여 출자금 모집 중이다. 동 펀드는 2024년 7월 말까지 결성(1000억원 목표)되어 투자가 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7월부터 이어서 각 1000억 원 규모의 4호·5호 펀드 주관 운용사를 공모하여, 올해 말까지 총 6000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 여건이 많이 어려운 가운데 K-바이오 1호 및 2호 펀드의 성공적인 결성이 투자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바이오헬스 기업의 혁신기술 개발 및 글로벌 진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내 3·4·5호 펀드 조성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K-바이오·백신 펀드 개요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K 바이오·백신 2호 펀드(프리미어파트너스) 1,566억원 규모 결성 완료.hwpx ( 509.33KB / 다운로드 90회 / 미리보기 22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K 바이오·백신 2호 펀드(프리미어파트너스) 1,566억원 규모 결성 완료.pdf ( 351.19KB / 다운로드 66회 / 미리보기 27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