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전체

2021년 자살사망자 1만 3,352명,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 작성일2022-09-27 13:25
  • 조회수25,913
  • 담당자김명희
  • 담당부서자살예방정책과

2021년 자살사망자 1만 3,352명,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이 원인으로 추정 -


자살사망자 수는 2021년 1만 3,352명으로 지난해 대비 157명(1.2%) 증가
자살률(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 수)은 2021년 26.0명으로 지난해 대비 0.3명(1.2%) 증가
청년·노인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 및 자살 고위험군의 적극적 발굴과 지원 정책으로 자살률 감소를 위해 노력할 계획


보건복지부는 2021년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 앞으로 청년·노인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과 자살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적극 발굴 및 지원하여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살 사망자 수 통계>

통계청이 발표(’22.9.27)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1년 자살사망자는 1만 3,352명으로 2020년보다 157명 증가(1.2%)하였으며,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 이하 자살률)은 26.0명으로 지난해 대비 1.2% 증가(’20년 25.7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의적 자해(자살) 등을 포함, 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 발표(통계청)

성별로 보면, 남성과 여성의 자살률이 모두 증가하였다.


* (남성) (’20년) 자살사망자 9,093명, 자살률 35.5명 → (’21년) 자살사망자9,193명, 자살률 35.9명
(여성) (’20년) 자살사망자 4,102명, 자살률 15.9명 → (’21년) 자살사망자 4,159명, 자살률 16.2명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대비 자살률은 10대(10.1%), 20대(8.5%) 및 70대(7.7%) 순으로 증가하였고, 60대(-5.7%), 40대(-3.4%), 80세 이상(-2.2%) 등에서 감소하였다.

- 자살률은 80세 이상(61.3명)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70대(41.8명), 50대(30.1명), 60대(28.4명) 순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자살률) 80세 이상(61.3명) - 70대(41.8) - 50대(30.1명) - 60대(28.4명) - 40대(28.2명) - 30대(27.3명) - 20대(23.5명) - 10대(7.1명)

자살은 사회 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가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려우나,

지난해 자살률 증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및 자살생각률 증가, 청소년ㆍ청년층(10대, 20대) 자살률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22.6. 보건복지부) >
▪우울위험군 : (’19) 3.2% → (’21.6.) 18.1% → (’22.6.) 16.9% (5배 증가)
▪자살생각률 : (’19) 4.6% → (’21.6.) 12.4% → (’22.6.) 12.7% (3배 증가)

< 우울증 진료환자 통계(’22.6. 심평원) >
▪’21년 우울증 진료환자는 933,481명으로 지난해(848,430명)대비 10.0% 상승, 연령대별로는 10대, 20대, 30대 순으로 증가율 높음


또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이 본격화되는 향후 2~3년간 급격히 자살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자살예방정책 추진 현황 및 계획>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정신건강 악화와 자살률 증가위험에 대비하여 종교계 등 민간과 함께 하는 생명존중캠페인, 자살시도자·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자살 예방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수행기관: (’17) 42개 → (’19) 63개 → (’21) 77개 → (’22) 79개

**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사업: ('21) 3개 시도→ ('22) 9개 시도

또한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자살예방법 개정 및 시행으로, 경찰·소방이 당사자 동의 이전에 자살예방센터로 자살시도자·유족 등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살 고위험군* 지원을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보다 20~30배 이상 높고(자살실태조사, 2018), 자살 유족의 우울장애 발병위험은 일반인 대비 18배 이상, 자살위험은 8~9배 높음(전홍진, 2018)

보건복지부는 향후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 수립을 통해 5년간 추진해 나갈 자살예방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범국민 생명존중문화 확산, 자살 고위험군 선제적 발굴·개입 및 자살 예방 전달체계 확대·개편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정신건강정책관은 “그간 감소추세였던 자살률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이 안정화됨에 따라 국민의 정신 건강을 보다 면밀히 살펴 코로나 이전의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살률 감소를 위해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선제적·적극적 개입 노력 등을 진행하겠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자살예방은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을 더하는 것에서 시작되므로 주위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전문적인 치료 또는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 모두가 따뜻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하였다.

<붙임> 1. 자살 사망자수 관련 통계
2. 자살보도 권고기준 3.0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1년 자살사망자 1만 3_352명_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hwpx ( 334.35KB / 다운로드 1137회 / 미리보기 61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1년 자살사망자 1만 3_352명_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pdf ( 539.22KB / 다운로드 1398회 / 미리보기 65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