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소개

현장앨범

2017 독거노인 사랑 나눔의 장(場) 개최

  • 행사일17/12/10
  • 분류장관소개 현장앨범

홀로 계시는 어르신들을 위한 2017 독거노인 사랑 나눔의 장(場) 개최

독거노인 보호 유공자 및 장기근속 우수실무자, 수기 공모전 수상자 48명 시상

독거노인사랑잇기 사업 참여 기업ㆍ단체와 재협약식 개최

<자원봉사자 수기공모전 대상작 : "특별한 인연”>

독거노인사랑잇는전화 봉사를 시작하며 연락을 드리다보니 어르신의 어려운 사정을 조금씩 알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은 어르신께서 울먹이시는 소리가 수화기 너머로 들려 들어보니 단수 예정통보를 받아 어려운 상황이셨습니다. 어르신의 어려움을 독거노인사랑잇는전화에 상담기록으로 남겼더니 다음 주 동사무소에서 어르신의 집과 월세를 지원해드리겠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어르신께 전화 드리니 너무나도 기뻐하셨고 너무나 뿌듯하고 감사했습니다.

신한생명보험 나눔천사 전○○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담당자 수기공모전 대상작 : "부산 딸, 제주도 아버지">

어르신은 젊었을 때 글을 쓰셨고 고향인 제주도를 떠나 부산에 정착한지 10년이 넘으셨습니다. 이후 어르신 댁을 방문하면서 어르신과 이야기를 나누며 아버지와 딸처럼 지내는 사이가 되어갔습니다.

그러다 어르신꼐서 고향인 제주도로 내려가셨고, 암 투병중이시라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처음엔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 하셔서 정말 다행이라 생각하던 중 어르신이 돌아가셨다는 비보를 접했습니다. 좀 더 자주 전화 드릴 걸 하는 후회가 남습니다. "애들은 잘 있냐, 몸 건강하게 잘 지내라" 는 마지막 통화가 아직도 귓전을 맴돕니다.

부산광역시 수영구노인복지관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담당자 전○○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센터장 전용만)는 홀로 계시는 어르신들 곁에서 돌봄과 봉사를 실천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 12월 7일(목) 오후 2시, 「2017년 홀로 사시는 어르신을 위한 사랑 나눔의 장(場)」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장소 : 우리은행 본점 4층 대강당(서울 중구 소공로 51)

이번 행사는 정부의 독거노인 돌봄서비스를 수행하는 지자체와 복지기관 뿐만 아니라 독거노인 후원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한 민간 기업과 단체들의 지원과 봉사를 격려하고, 사회적 돌봄과 나눔문화를 보다 확산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보건복지부는 홀로 계시는 어르신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2007년부터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제공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는 정부의 돌봄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분들을 민간과 협력하여 지원하는 ‘독거노인사랑잇기’ 사업을 추진해왔다.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업은 전국 244개소 수행기관을 통해 약 9,200명의 생활관리사가 24만명의 독거노인을 매주 1회 방문 및 2~3회 전화연락을 하여 안부를 확인하고, 말벗이 되어 드리며, 복지서비스도 연계해 주는 등의 활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취약한 어르신들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111개소 민간기업ㆍ단체의 콜센터 직원 또는 자원봉사자가 약 6만명의 독거노인과 1대1 결연을 맺고 전화로 안부확인을 하거나, 직접 방문해 후원물품을 전달하는 ‘독거노인사랑잇기’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16년 총 79억원의 민간 후원금 및 후원물품을 독거노인에게 전달하였으며, 2017년에도 111억원(’17.12월 기준)에 달하는 후원 모금을 하는 등 정부의 지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나눔문화를 확산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독거노인 보호사업 유공자의 노고를 격려함과 동시에 어르신에 대한 돌봄과 나눔을 실천한 분들의 살아있는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독거노인사랑잇기’ 사업 참여 기업․단체가 참석하는 사회공헌 재협약식 및 10주년 기념영상 상영, 실버합창단 공연, 수기공모 당선작 영상 상영 등 다채로운 이벤트도 진행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홀로 계시는 어르신을 가족처럼 따뜻하게 돌봐준 많은 분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어르신들이 소외되지 않고 함께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선 사회적 관심이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오늘 행사를 계기로 우리 주변의 어르신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져주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