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소개

현장앨범

안산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출범식

  • 행사일19/10/15
  • 분류장관소개 현장앨범

안산시 특색을 살린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형 개발한다
-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안산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출범식(10.15) 참석 -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10.15(화) 15시, 안산시청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출범식‘에 참석하여 안산시의 특색을 살린 통합돌봄 모형을 만들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일시·장소) 10.15. (화) 15시 ~ 16시 / 안산시청 대회의실 (민원동 2층)

이 날 출범식은 경기도 안산시가 자주적으로 기획한 통합돌봄 선도사업의 목표(비전)와 계획을 지역 주민들에게 알리고 사업에 참여하는 민·관 기관의 종사자들이 선도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다짐하기 위하여 개최되었다.

안산시장, 국회의원, 시의회 의장 및 관련 민·관 기관의 종사자 등 약 100명이 참석하였다.

안산시는 지역사회가 자체적으로 발전시켜 온 사회적경제조직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이 서로를 돌보는 통합돌봄 모형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노인 등에 대한 재교육을 통해 케어안심주택 집수리 기능인, 지역사회 건강지도자(리더) 등으로 양성하여 이들을 통해 돌봄이 필요한 지역 주민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예정이다.

그리고 안산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건강생활지원센터 건립 공모사업을 적극 활용하여 통합돌봄의 기반시설(인프라)과 사회서비스가 결합된 통합돌봄의 모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2019년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19.10월)에서 ’지역사회 통합돌봄 특화형‘으로 선정됨

①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2동 : (면적) 94천m, (사업비) 229.6억 원(뉴딜사업비 166.6억 원, 지자체사업 53억 원 등)

② 경기도 부천시 대산동 : (면적) 181천m (사업비) 1.363.4억 원(뉴딜사업비 133억 원, 지자체사업 1087.9억 원, 공공기관 54.8억 원 등)

** 2020년도 안산시 반월 건강생활지원센터 건립(기존 도시보건지소를 건강생활지원센터로 전환: 국비 1.8억 원, 지방비 0.9억 원)

또한 시 본청에 통합돌봄총괄팀을 신설하고 전체 25개 동 주민센터에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등 총 57명의 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다.

2019년 하반기에는 22개 세부사업을 운영하고 총 44억 원의 예산(국비, 지방비 등)을 투입하여 돌봄이 필요한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19년에는 요양병원에 장기 입원한 노인 중 퇴원을 희망하는 노인과 재가생활을 하지만 복합 만성질환 등으로 재택에서의 자립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 등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사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 안산형 통합돌봄 이색사업 >

  • ① (안산형 사회주택 소소한家 공급) 기존 민간 아파트를 매입하여 노인의 신체특성을 반영하여 안전바, 높낮이 조절 세면대 등을 설치하고 방문간호 등 돌봄 서비스를 연계
  • ② (사람을 치유하는 타임뱅크 시범사업) 노인 등이 타인에게 제공한 돌봄서비스를 제공시간을 적립하고 향후 본인의 돌봄 필요시에 사용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출범식에서 선도사업을 준비해 온 안산시 공무원과 사업에 참여하는 민·관 기관을 격려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통해 어르신들이 평소 살던 곳에서 가족, 이웃과 함께 어울려 지내는 평범한 삶을 오래도록 유지하게 하여 누구도 소외받지 않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따뜻한 지역사회를 만들어가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추가경정예산으로 선도사업 지자체가 늘어나면서 대도시, 도농복합지역, 농어촌 등 다양한 지역의 상황에 맞는 통합돌봄 모형을 본격적으로 마련하여 전국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2019년도 추가경정예산으로 추가로 실시되는 8개 선도사업 지자체별로 통합돌봄의 비전을 공유하는 출범식을 개최하는 것을 계기로 선도사업이 확대되어 진행되고 있다.

* 2019년도 추가경정예산에 선도사업 지자체 수 확대(8개 → 16개 시군구)
8개 시군구에서 ‘19. 9월부터 4개월 간 선도사업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국비분 31억4900만 원(국비 50%, 지방비 50%)

** 노인·장애인분야 선도사업 실시 지자체는 1차·2차 지역 모두 약 2년 간 약 43~47억 원(국비+지방비)의 예산 지원 +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의료급여 재정 등으로 운영되는 각종 연계사업이 함께 지원

< 9월부터 선도사업을 실행하는 2차 선도사업 지자체 >

  • 부산 북구·, 부산 부산진구, 경기 안산시, 경기 남양주시, 충북 진천군, 충남 청양군, 전남 순천시, 제주 서귀포시 (*모두 노인 선도사업 지역임)

< 지난 6월부터 선도사업을 실시 중인 1차 선도사업 지자체 >

  • (노인) 광주 서구, 경기 부천시, 충남 천안시, 전북 전주시, 경남 김해시
  • (장애인) 대구 남구, 제주 제주시 · (정신질환자) 경기 화성시
첨부